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15년도 리콜 총 1,586건, 공산품·식품 리콜 증가!

-유해 물질 함유 제품 등 공산품 리콜 명령, 식품 관련 자진 리콜 늘어-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정재찬)는 결함 보상(이하 리콜) 관련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각 정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소비자원의 ’15년도 리콜 실적을 분석하여 발표함.

 

  • 분석대상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 등 정부 부처, 각 지방자치단체, 소비자원의
        식품, 의약품, 공산품, 자동차 등 8개 분야의 리콜 실적

연도별 리콜실적

2015년 소비자 기본법 등 관련 법률에 따른 리콜 건수는 1,586건으로, ’2014년 실적(1,752건) 대비 166건
(△9.5%)이 감소
함.
- 2014년 한약재에 대한 식약처의 대규모 리콜 명령으로 대폭 증가했던 의약품 리콜이 예년 수준으로 감소했을 뿐 전반적으로는 증가 추세를 유지함.
연도별 리콜 실적('06-134건, '07-329건, '08-544건, '09-459건, '10-848건, '11-826건, '12-859건, '13-973건, '14-1,752건, '15-1,586건)

단위 : 건

연도 리콜건수 연도 리콜건수
2006년 134 2007년 329
2008년 544 2009년 459
2010년 848 2011년 826
2012년 859 2013년 973
2014년 1,752 2015년 1,586

최근 3년간 리콜 실적 비교

리콜 명령이 890건으로 절반 이상(56.12%)을 차지한 가운데 자진 리콜 꾸준히 증가함.
자진리콜(2013년-263건, 2014년-339건, 2015년-536건), 리콜권고(2013년-111건, 2014년-277건, 2015년-160건), 리콜명령(2013년-599건, 2014년-1136건, 2015년-890건)

단위 : 건

자진리콜 2013년 263
2014년 339
2015년 536
리콜권고 2013년 111
2014년 277
2015년 160
리콜명령 2013년 599
2014년 1,136
2015년 890

품목별 리콜 실적

일반 공산품 리콜이 654건으로 가장 많았고, 식품 375건, 의약품 212건, 자동차 203건 순임.

 

 

품목 리콜유형 2014년 2015년
건수 건수 증감(전년비)
공산품
(전기용품 포함)
자진리콜 52 92 40(77%)
리콜권고 256 140 △116(△45.3%)
리콜명령 170 422 252(148.2%)
소계 478 654 176(36.8%)
식품 자진리콜 59 152 93(157.6%)
리콜권고 6 8 2(33.3%)
리콜명령 210 215 5(2.4%)
소계 275 375 100(36.4%)
의약품
(한약재·
한약제제 포함)
자진리콜 22 24 2(9.1%)
리콜권고 4 - △4(△100%)
리콜명령 711 188 △523(△73.6%)
소계 737 212 △525(△71.2%)
자동차 자진리콜 177 187 10(5.6%)
리콜권고 11 12 1(9.1%)
리콜명령 - 4 4(-)
소계 188 203 15(8%)

만족도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