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18일

안전배움터 안전캘린더 일별 안전캘린더 18일
인쇄하기

화상사고

주요 사고원인

화상사고 이미지

14세 이하 어린이 화상사고는 0-4세 어린이(41.0%)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며 이 연령대의 화상사고율이 5-14세 어린이보다 2배가량 더 높습니다.
한편, 어린이 화상사고는 겨울에 전체 사고의 32.1%가 발생합니다.

라이터, 성냥, 불꽃놀이와 같은 인화성물질을 가지고 노는 것이 화재사고의 주요 원인이자 화상사고의 주된 요인입니다.

헤어고데기, 히터기, 오븐, 가스레인지, 다리미 등 가열기기에 의한 화상이 빈번합니다.

정수기(냉·온수기), 목욕탕, 뜨거운 음식물, 전자레인지에서 음식물을 데울 때 등 뜨거운 물 또는 증기로 인한 화상이 전체의 1/4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가전제품의 코드, 확장전선코드, 콘센트 등 전기화상의 경우도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뜨거운 국 냄비를 방바닥에 두어 어린이가 뛰어 놀다가 발에 화상을 입는 사고가 많습니다.(특히, 대가족이 모인 장소에서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예방수칙

  • 어린이 혼자 욕실이나 주방에 남겨 두지 않고 욕실에 들어가야 할 때는 함께 들어가도록 합니다.
  • 정수기를 사용하는데 있어 어린이, 특히 유아의 경우 온수를 혼자 받도록 두지 말고 보호자가 받아주며, 온수의 유출부가 가급적 어린이의 손에 닿지 않는 곳에 설치합니다.
  • 집안에 화재경보기를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배터리를 갈고 제대로 작동하는지 점검하도록 한합니다.
  • 사용하지 않는 전기 콘센트는 안전장치로 덮어둡니다.
  • 온수를 섭씨 40도 이하로 설정합니다. 수도꼭지와 샤워기 입구에 항증기장치를 설치하도록 합니다.
  • 절대 어린이 혼자서 폭죽을 사용하게 해서는 안됩니다.
  • 강산이나 강알칼리와 같은 화학제품은 화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고 잠가둡니다.
  • 성냥이나 라이터 등 모든 인화성 물질은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도록 높은 선반이나 자물쇠가 있는 캐비닛에 보관합니다. 점화장치가 뒤에 달린 가열기구를 사용하고 조리 중에는 냄비 손잡이를 뒤로 가게 합니다.
    가전제품의 코드는 어린이들이 닿지 않는 곳에 두도록 하고 특히 뜨거운 음식이나 물이 담겨져 있는 경우라면 각별히 조심합니다.
  • 뜨거운 음식이나 물은 테이블 가장자리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놓아야 하며 어린이를 안고 있는 상태에서는 뜨거운 물건을 들거나 잡지 않도록 합니다.
  • 전기밥솥은 어린이가 손댈 수 없는 곳에 두고, 취사 중일 때에는 어린이가 접근하지 못하게 하여 증기로 인한 화상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어린이가 가스레인지를 만지지 못하게 해야 하며 가스레인지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중간밸브는 잠가 두고 가스누설 차단장치를 설치합니다.
  • 오븐이나 전자레인지의 열기로 인한 화상을 막기 위해 뚜껑을 닫고 열을 식힙니다.
  • 난로는 안전장치가 갖추어진 제품을 구입합니다.
  • 난로 주위에는 불이 붙을 만한 물건을 모두 없애고 충분한 공간을 확보합니다.
  • 가스난로는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두어야 하며 침실이나 화장실은 피합니다.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