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7일

안전배움터 안전캘린더 일별 안전캘린더 7일
인쇄하기

전기 감전사고

주요 사고원인

전기 감전사고 이미지

한국전기안전공사 자료(2002년)에 의하면 전체 감전사고 중 어린이 감전사고 비율이 14.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어린이 감전사고의 주요 원인은 접속기구, 전기배선, 가전기기, 조명장치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방수칙

  • 몸이 젖었거나 물 속에 있을 때는 어떠한 전기설비도 만지지 않습니다.
  • 전기제품(헤어드라이어, 고데기 등)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반드시 플러그를 뽑아 둡니다.
  • 콘센트에 이물질을 넣거나 젖은 손가락으로 만지는 행동은 하지 않도록 하며, 사용하지 않는 콘센트에는 안전덮개를 덮어두고, 가정 내에는 반드시 누전방지 장치를 설치하도록 합니다.
  • 전기코드나 전선 등을 갖고 놀지 않도록 합니다.
  • 전선 부근에서 새잡기, 연·모형비행기 날리기, 철사 던지기 등의 장난은 감전사고와 연결될 수 있는 위험한 행동이므로 주의합니다.
  • 전선과 근접한 나무나 건물에 오르는 일이 없도록 합니다.
  • 집 옥상 등 특히, 전선이 가까이 있는 곳에서는 막대기, 낚싯대, 알루미늄봉(TV 안테나), 철사 등을 가지고 놀지 않습니다.
  • “위험”, “고전압”, “접근금지” 등의 표시가 있는 전기설비는 만지거나 가까이 가지 않습니다.
  • 추락과 감전의 위험이 있으므로 전주에는 절대로 올라가지 않습니다.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