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11일

안전배움터 안전캘린더 일별 안전캘린더 11일
인쇄하기

익수사고

주요 사고원인

익수사고 이미지

익수사고는 수영장, 야외 물놀이 장소에서 주로 일어나지만 화장실내의 욕조, 물통, 변기 등에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익수사고는 보호자가 방치하거나 잠시 소홀한 사이에 일어나며, 물에 빠진 후 2분 내에 어린이는 의식을 잃게 되며 4~6분 정도가 되면 회복할 수 없는 뇌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10분이 지나면 거의 사망에 이르게 될 수도 있습니다.

예방수칙

  • 가정에서 어린이를 물 속이나 근처에 소홀히 두지 말고 사용한 모든 용기는 즉시 내용물을 비운 후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여야 합니다.
  • 수영장이나 욕조에서는 어린이에게 잠시도 눈을 떼지 말아야 합니다.
  • 변기 뚜껑은 항상 닫아둡니다. 잠금 장치를 하는 것도 좋습니다.
  • 어린이가 움직이다 빠지기 쉬우므로 목욕물은 반만 받아 사용합니다.

수영장 및 옥외 물놀이 장소에서의 주의사항

  • 준비운동을 한 뒤에 물에 들어가고 중간 중간 휴식시간을 갖도록 합니다.
  • 항상 어른이나 안전요원이 있는 곳에서만 물놀이를 합니다.
  • 배꼽 정도 깊이의 물이 안전합니다.
  • 벗겨지지 않는 신발을 착용하도록 합니다.
  • 사람이 물에 빠졌을 때에는 물 밖으로 나옵니다.
  • 다리에 쥐가 나거나 몸이 차고 떨리면 물 밖으로 나옵니다.
  • 14세 이하 어린이는 개인 수중장비를 운전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 튜브나 암링(팔이 물 속으로 가라앉지 않도록 하여 물 위에서도 쉽게 균형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물놀이 안전용품)을 착용하도록 하되 맹신하지 않습니다.
  • 보트에 탈 때나 수상 스포츠에 참여할 때에는 항상 개인수상보호장비(PFD, Personal Floating Device)를 갖추어야 하며 튜브나 암링으로 대체할 수 없습니다.

심폐소생술(CPR, Cardio Pulmonary Resuscitation)

기도유지 → 호흡확인 → 인공호흡

  • 머리와 목을 보호하면서 눕히고(소아는 어른에 비해 목을 덜 젖히고 영아는 더 많이 젖혀야 기도가 확보됩니다) 호흡여부를 확인합니다. 혹시 고개가 젖혀지면 오히려 호흡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조심스럽게 다룹니다.
  • 호흡이 멈추었을 때 작은 어린이라면 입과 코를 입으로 막고 처음에는 계속하여 2번(한번에 1~1.5초 가량) 크게 천천히 숨을 불어넣습니다. 아기는 한 번 약하게 숨을 불어넣습니다.
  • 숨을 불어넣을 때에는 가슴이 올라오는지 보고 느껴야 하며 공기가 나가는지도 확인합니다.
  • 매 3초마다 반복하여 1분 당 20번의 속도를 유지합니다.

맥박확인 → 심장마사지

  • 인공호흡을 한 후 목 옆으로 흐르는 경동맥의 맥박을 5~10초 동안 짚어봅니다. 맥박은 뛰나 호흡이 없는 경우에는 가슴 압박을 실시합니다.
  • 영아의 경우에는 1호흡 당 5번 정도 가슴의 정 중앙 부위의 흉골 부위(흉골 위에서 양쪽 젖꼭지를 연결한 가상의 선에서 한 손가락 넓이 아래 부분)를 두 손가락으로 압박합니다. 1분간 계속(분당 100회의 속도)하고 심장이 다시 뛰는지 관찰하고 맥박이 없으면 계속합니다.
  • 어린이도 1호흡 당 85번의 심장마사지가 필요합니다. 손바닥 끝(손목부분)으로 흉골 부위를 압박하며 1분당 80~100회 압박합니다. 역시 1분간 압박 후 맥박이 돌아 왔는지 확인하고 계속합니다.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