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0419-210423) |
---|---|
출처 | 위해정보팀 |
품목 | 품목없음 |
조회수 | 873 |
게시일 | 2021.04.29 |
파일 | |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 주요내용 |
---|---|
세계 보건기구 (WHO) |
WHO 면역 전략 전문가 자문단은 최신 임상시험과 모니터링 정보를 참고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관련 임시 권고사항을 업데이트했음. WHO는 계속해서 해당 백신의 이익이 위험보다 크다는 입장을 지지함. 권고사항에는 예방 조치 및 위험 유형, 특정 그룹(임산부, 모유수유 여성, 이전에 SARS-CoV2 등 감염자)에 관한 설명도 포함함.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캘리포니아주 환경보건 위해평가사무소(OEHHA)에서 새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합성 식용 색소를 섭취한 어린이는 주의력 결핍이나 과잉행동 장애(ADHD)와 그 외 신경행동학적 문제에 더욱 취약하다고 함. OEHHA는 FDA 및 주 당국의 조치를 촉구함. 캘리포니아 의회는 식품의 인공 색소가 아동의 ADHD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주의문구를 포함하도록 식품 제조업체에 요구하는 법안을 도입하였음.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플로리다주는 고독성 농약인 알디카브의 사용 신청을 거절하였음. 이로 인해 해당 주에서 재배하는 감귤 작물에 알디카브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되었음. 알디카브는 어린 아동의 뇌 발달을 저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신경독소임. 지난 3월, EWG와 생물학적 다양성 센터, 플로리다 농부 연합은 환경보호청이 감귤 작물에 알디카브 사용을 재승인한 것과 관련해 소송을 제기한 바 있음.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미국 상하 양원은 과불화화합물(PFAS)에 노출된 피해자가 제조업체에 정기 건강검진 비용을 청구하도록 하는 법안을 도입했음. 암, 생식 건강 및 면역계 피해 등 PFAS 노출로 인한 질병은 발병하기까지 수년이 걸릴 수 있음. 이번 법안은 또한 제조업체가 PFAS가 건강에 끼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기금을 지원하도록 강제하게 됨. EWG는 미국에서 약 2,500개의 제조업체가 PFAS를 공기와 물에 방출하는 것으로 추산함.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미국 CPSC가 4.17. Peloton Tread+ 러닝머신으로 인해 39건의 사고가 발생했다며 긴급 안전 주의보를 발령하자, 컨슈머 리포트는 러닝머신 제품 평가에서 해당 제품을 일시 삭제하고 소비자에게 제품 구입을 권장하지 않는 이례적인 조치를 취했음. |
유럽 식품안전청 (EFSA) |
식품을 안전하게 해동하는 방법에 관한 인포그래픽을 영어, 네덜란드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로 제작해 게시함. 냉동 식품은 해동 후에 박테리아가 증식해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어 식품기인성 질병을 줄이기 위해서는 권장 해동 방법을 지켜야 함. |
유럽 식품안전청 (EFSA) |
EFSA는 식품 공급업체가 식품 보관(해동법) 및 섭취 기한에 관한 소비자 정보를 제공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가이던스를 발표했음. 식품 포장을 개봉한 후에는 오염된 손, 표면, 장비의 박테리아가 식품에 전염될 수 있어 경우에 따라 사용기한(use by), 유통기한(best before) 외에 별도의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 |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원문참조 |
캐나다 보건부와 캐나다 환경기후변화부는 화학물질 관리 계획에 따라 탈크(talc, 활석)의 합동 평가를 실시했음. 그 결과, 탈크는 대부분 인체 건강에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특정 제품이 인체 건강에 피해를 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렸음. 구체적으로 탈크 파우더 제품은 흡입할 경우 폐에 유해할 수 있으며, 여성 생식기 부위에 탈크가 함유된 바디파우더 등 셀프케어제품을 사용할 때 난소암을 일으킬 수 있음. |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L'il Critters 및 vitafusion 브랜드 유아 및 성인용 비타민 영양제에 금속 이물질(쇠줄 조각)이 혼입돼 리콜하였음. 이물질은 스테인리스 필터 스크린 조각으로, 해당 물질을 삼킬 경우 소화계가 손상될 수 있음. 해당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는 환불을 받고 제품은 폐기하게 됨.(*일부 제품이 국내에 유통되는 것으로 확인돼 CISS 접수 후 조치 중임) |
캐나다 교통국 (Transport Canada) |
캐나다 교통국은 시각장애인, 자전거 운전자, 보행자 같은 도로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모든 하이브리드차 및 전기차를 대상으로 최소한의 소음을 내도록 자동차안전규정을 개정한다고 함. 하이브리드차 및 전기차는 엔진 소음이 적어 저속에서는 사실상 소리가 나지 않아 도로 이용자의 사고 위험이 높아짐. 제조업체 다수가 자율적으로 방음기(어쿠스틱 차량 알림 시스템)를 추가했지만 캐나다에서는 2023년까지 법으로 규제하고자 함. 방음기의 볼륨과 음 높이는 속도에 따라 차이를 두게 됨. |
싱가폴 보건과학청 (HSA) |
HSA는 범죄수사부와 공동으로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가품 의심 마스크 판매자를 대상으로 제품 압수 조치를 취했음. 상표 위반이 의심되는 마스크 4만 1천여 장의 가품 여부를 조사 중임. 소비자는 알려지지 않은 온라인 사이트 등에서 마스크 등의 건강제품을 구입하지 않도록 함. 가품이거나 안전성 미흡, 저품질, 비위생적으로 제조된 제품일 가능성이 있음. |
미국 식품의약국 (FDA) |
FDA는 존슨앤드존슨 코로나19 백신 제조 시설 Emergent BioSolutions를 점검했으며, 업체에 요청해 잠재적인 품질 문제를 해결할 동안 새로운 백신 생산을 중단하기로 했음. 기존에 생산한 백신은 추가 검사를 거쳐 유통 전에 철저한 품질 평가를 거치게 됨. |
FDA와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안전성 검토 후에 존슨앤드존슨 코로나19 백신 (얀센) 접종 중단 권고를 철회했음. 미국 내에서 접종을 재개하게 되며 의료인, 접종자 및 보호자 대상 팩트 시트에 부작용 위험 정보를 추가했음. |
|
미국 질병통제 예방센터 (CDC) |
CDC는 캐슈브리치즈 관련 살모넬라균 감염 사고를 조사 중임. 3개주에서 5명이 살모넬라균 감염증에 걸렸으며, 2명이 입원치료를 받았고 사망자는 없음. Jule’s cashew brie 제품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다고 확인됨. 4월 22일 업체는 제품 전체를 리콜하였음.(Jule’s cashew brie (classic), Jule’s truffle cashew brie, Jule’s black garlic cashew brie, Jule’s artichoke spinach dip, Jule’s vegan ranch dressing). |
일본 후생노동성 (MHLW) |
석면 예방 규칙 등 석면 관련 조례 개정안의 자문 내용을 공개함. 개정안은 2021.12.1.부터 발효됨.(두번째 안은 2021.8.1.부터).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음. |
호주 의약품청 (TGA) |
호주 내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후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한 혈전증 부작용이 3건 추가로 보고됨. 백신안전조사단은 백신과 인과관계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음. 3명 다 상태가 안정적이며 치료가 잘 되고 있음. |
번호 | 제목 | 출처 | 게시일 | 조회수 |
---|---|---|---|---|
1131 | 2025년 7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7.10 | 32 |
1130 | 2025년 6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27 | 75 |
1129 | 2025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3 | 87 |
1128 | 2025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1 | 80 |
1127 | 2025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0 | 79 |
1126 | 2025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0 | 73 |
1125 | 2025년 4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0 | 57 |
1124 |
2025년 3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3.26 | 243 |
1123 |
2025년 3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3.17 | 242 |
1122 |
2025년 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2.26 | 250 |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