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주간 해외안전정보 동향(210412-210416) |
---|---|
출처 | 위해정보팀 |
품목 | 품목없음 |
조회수 | 924 |
게시일 | 2021.04.21 |
파일 | |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당기관 | 주요내용 |
---|---|
세계 보건기구 (WHO) |
국제 백신안전 자문위원회가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혈액 응고 부작용 관련 검토 내용을 발표함.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한 혈전증의 생물학적 발생기제는 아직 조사 중임. 현 단계에서는 아데노바이러스를 운반체로 사용하는 백신과 관련된 플랫폼 관련 발생기제가 확실하지는 않지만 배제할 수는 없다는 입장임. 아데노바이러스를 사용하는 모든 백신의 부작용 사례 및 관련 연구를 검토하고 있음. 코미나티나 모더나 mRNA-1273 백신 같은 mRNA 기반 백신은 본 부작용과 관련이 없음. 백스제브리아(아스트라제네카의 새 명칭) 및 코비실드 백신의 부작용 위험은 매우 낮음. 위원회는 젊은 성인에게 위험도가 높다는 데이터가 있어서 연령 관련 위험을 파악하기 위해 추가 연구를 지원하는 한편, 여성에게 부작용이 더 많이 보고되고 있지만, 여성 접종자가 남성에 비해 많으며 남성에게도 일부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어 성별 위험에 대해서는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고 함. |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Which?는 Fabulosa Air Freshener & Sanitiser 제품을 이용해 라디에이터 먼지를 청소하지 말라고 경고함. 최근 SNS 플랫폼 TikTok으로 전파된 해당 제품을 이용해 라디에이터 내부 먼지를 청소하는 해킹 방법(제품을 의도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굉장히 위험하고 사용자에게 중상을 초래할 수 있음. |
영국 소비자연합 (Which?) |
유럽의 신차 안전도 평가기관인 Euro NCAP의 패밀리카와 전기자동차 충돌 시험 결과, 다시아 Sandero, Sandero Stepway가 5점 만점 중 2점을 받아 Which?의 구입 금지 차량으로 지정됨. Which?는 3점 이하를 받은 차량부터 구입을 권하지 않음. 이 외에 스코다 Enyaq iV, 폭스바겐 ID.4는 5점 만점을 받았음. |
미국 환경실무 그룹 (EWG) |
미국 의회는 식수의 과불화화합물(PFAS) 국가 표준을 설정하는 법안인 PFAS 조치법을 도입했음. 해당 법안은 식수 내 일부 PFAS 화학물질의 국가 표준을 도입하고 PFAS를 유해 물질로 지정해 환경보호청이 오염 현장을 정화하도록 하며 산업 방출을 제한하고 상수도시설과 하수처리시설을 지원하기 위해 연간 2억 달러를 출연하게 됨. |
미국 소비자동맹 (Consumer Reports) - FDA 링크 - CDC 링크 |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존슨앤드존슨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은 여성(18~48세)에게 발생한 6건의 심각한 혈전 부작용을 검토할 때까지 해당 백신 접종을 중단하라고 권고했음. 지금까지 680만 개 분량의 백신이 미국에서 접종되었으며 부작용은 극히 드물게 발생했음. 존슨앤드존슨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과 유사한 기술을 이용해 제작했음. |
아일랜드 식품안전청 (FSAI) |
FSAI와 해양어업보호청은 기생충 방제를 위해 아일랜드에서 양식한 대서양 연어를 냉동하는 요건을 최근 검토했음. 개정법과 유럽식품안전청의 수산물 기생충의 위해성 평가를 검토한 결과, 플로팅 케이지나 육상 탱크에서 양식하며 살아있는 기생충을 함유할 가능성이 없는 혼합 사료를 먹일 때 감염 위험은 무시해도 될 정도임. 따라서 ▲ 아일랜드에서 양식한 대서양 연어에서 유래한 수산물이며 ▲ 건강 위험을 초래하는 독자 생존 가능한 기생충을 함유할 수 없는 사료만 줄 때 ▲ 독자 생존 가능한 기생충이 없는 환경에서만 양식할 때 기생충 방제를 위한 냉동 요건이 적용되지 않으며 냉동 시에는 라벨에 적절히 표기해야 함. |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캐나다 보건부는 아스트라제네카 및 코비실드 백신의 혈소판 감소증 동반 혈전증 부작용 안전성 검토 현황을 제공함. 캐나다 보건부는 이 부작용이 백신과 연관성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결론을 내렸음. 따라서 라벨 주의문구에 부작용 가능성을 알리고 부작용 증상과 접종 후 의사의 진찰을 즉각 받아야 하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업데이트하였음. |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일반의약품으로 판매하는 근육이완제 OrfenAce 100mg 정은 허용치를 초과하는 니트로사민 불순물(NMOA)이 검출돼 리콜하였음. 니트로사민 불순물은 인체 발암 가능 물질임. 안전 수준 이상으로 장기간 노출되면 발암 위험이 높아질 수 있음. |
캐나다 보건부 (Health Canada) |
항우울제 APO-Amitriptyline에서 허용치를 초과하는 니트로사민 불순물(NDMA)이 확인돼 리콜하였음. Amitriptyline은 우울증을 치료하고 만성 통증을 비롯한 기타 장애를 관리하는데 사용하는 처방약임. NDMA는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됨. |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CPSC와 Maxtrade사는 소비자에게 ATV Coolster youth ATV-3050-C, ATV-3050-B 모델이 중상이나 사망 위험이 있으므로 즉시 운행을 중단하라고 경고했음. 이 모델들은 CPSC의 6세 이상 어린이용 ATV의 최대 속도 제한을 비롯해 의무 안전 표준을 준수하지 않았음. 어린 아동이 운행할 경우 고속 충돌 사고로 인한 중상 및 사망 위험이 있음. 해당 차량은 온라인과 대리점에서 2007(3050-B)~2008년(3050-C)부터 2021년 1월까지 판매되었음. Maxtrade는 해당 모델의 판매를 즉시 중단했음. |
미국 소비자제품 안전위원회 (CPSC) |
CPSC는 소비자에게 Peloton Tread+ 러닝머신 사용을 중단하라고 긴급 주의보를 발령했음. 해당 제품과 관련해 39건의 사고가 발생했으며 이 중에는 1건의 사망사고도 포함됨. 소비자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음. ▲ 어린이나 반려동물이 있는 가정에서는 즉시 제품 사용을 중단함. 부모가 러닝머신을 뛰고 있을 때 발생한 사고도 있어 사용하지 않을 때 장치를 잠근다고 해서 위험하지 않은 것은 아님. ▲ 제품을 계속 써야 한다면 러닝머신 사용 중 어린이나 반려동물이 들어오지 못하게 문을 잠그고 이용함. ▲ 러닝머신 주변에 운동용 공과 장비 등 모든 물체를 치우고 사용함 ▲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제품의 플러그를 뽑고 안전키는 러닝머신 외에 어린이의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함. |
일본 소비자청 (CAA) |
제조물책임법 관련 정보를 게재함. 제조물책임법의 개요, 민법(채권 관계) 개정에 따른 제조물책임법 개정, 제조물책임법에 근거한 소송 정보 수집, 제조물 책임법 관련 시책, 질의응답 등의 내용을 수록하고 있음.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관련 최신 정보를 제공함. 호주에서 혈소판 감소증을 동반한 혈전 부작용 사례가 2건 더 발생해 총 3건이 발생했으며, 백신안전조사단은 백신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음. 2번째 사례는 40대 여성으로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으며 안정적인 상태임. 3번째 사례는 48세 여성으로 사망했음. 현재까지 호주에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최소 88만 5천개 분량이 투여되었으며 현재까지 혈전 부작용 발생 빈도는 295,000 : 1임. 호주 정부는 50세 미만 환자는 화이자 백신이 낫다고 발표한 바 있음. |
번호 | 제목 | 출처 | 게시일 | 조회수 |
---|---|---|---|---|
1130 | 2025년 6월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27 | 57 |
1129 | 2025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3 | 76 |
1128 | 2025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1 | 69 |
1127 | 2025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0 | 66 |
1126 | 2025년 4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0 | 62 |
1125 | 2025년 4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위해정보팀 | 2025.06.10 | 46 |
1124 |
2025년 3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3.26 | 237 |
1123 |
2025년 3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3.17 | 231 |
1122 |
2025년 2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2.26 | 244 |
1121 |
2025년 2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 |
위해정보팀 | 2025.02.13 | 278 |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