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소비자원-국표원, ‘단추형 전지 삼킴 사고’ 안전주의보 발령
출처 위해관리팀
품목 가전제품 및 정보통신기기
조회수 1428
게시일 2021.09.16
소비자원-국표원, ‘단추형 전지 삼킴 사고’ 안전주의보 발령
- 최근 4년 7개월 간 254건 발생,
‘0∼3’세 영유아 사고가 전체의 86% -
- 어린이보호포장, 안전설계,
주의표시 등 안전기준 강화 추진 -

영·유아들이 단추형 전지를 삼키는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관계기관이 소비자의 주의를 당부하는 한편 안전기준 강화에 나선다.
ㅇ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 이하 “소비자원”)과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상훈, 이하 “국표원”)이 16일 단추형 전지 삼킴 사고 안전주의보를 공동 발령했다.

단추형 전지는 리모컨 같은 소형 전자기기,캠핑용품 등 다양한 생활용품에 사용되고 있으나, 사람이 삼키는 경우 식도, 위 등에 구멍이 생길 수 있으며 합병증 발생으로 위험 상황에 이를 수 있다.
ㅇ 특히 리튬이 포함된 단추형 전지는 다른 전지에 비해 전압이 높아 빠른 시간 내에 식도에서 제거하지 않으면 위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해외, 단추형 전지 삼킴 사고로 인해 다수 사망사고 발생[호주(ACCC), Button Batteries Issues Paper, ‘19.8]]

단추형 전지 단추형 전지 사진 단추형 전지 사용 제품 예시(리모컨)
두께 1∼11mm, 지름 32mm까지의 납작하고 둥근 모양의 화학 전지
· (전압) 리튬 포함 전지 3.0V, 리튬 포함되지 않은 전지 약 1.5V


 단추형 전지 ‘삼킴 사고’는 입에 넣는 본능이 강한 ‘0∼3’세 영·유아에게서 주로 발생하고 있어, 영유아 어린이를 둔 가정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ㅇ 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집계에 따르면 최근 4년 7개월간(’17.1.∼’21.7.) 254건의 단추형 전지 삼킴 사고가 접수됐으며,
- 이 중 ‘0∼1세’ 사고가 166건(65.4%)으로 가장 많았고, ‘2∼3’세 52건(20.5%), ‘4∼6’세 27건(10.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병원, 소방서 등 76개 위해정보제출기관 및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 평가하는 시스템

ㅇ 단추형 전지 및 단추형 전지 사용 제품 중 상당수*는 어린이보호포장과 주의·경고표시, 안전설계 등이 되어 있지 않아, 어린이 삼킴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기준의 강화가 필요하다.
* 온라인을 통해 구매한 수입 단추형 전지 8개 제품 중 7개(87.5%)가 어린이보호포장을 적용하지 않고 있었으며, 5개의 제품(62.5%)은 주의·경고 표시 미흡(소비자원 조사)
* 체중계, 캠핑용 헤드랜턴 등 단추형 전지를 사용하는 생활용품 15개를 구입·조사한 결과, 11개 제품(73.4%)이 안전설계를 적용하지 않아 전지가 제품에서 쉽게 이탈, 안전설계와 주의·경고 표시를 모두 적용한 제품은 2개(13.3%)에 불과(소비자원 조사)
 이에, 소비자원과 국표원은 단추형 전지와 단추형 전지 사용 제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한다.

ㅇ 국표원은 연구용역 및 업계 의견수렴 등을 거쳐 어린이보호포장과 사용 제품의 안전설계, 주의·경고 표시를 안전기준에 반영하여 의무화 할 예정이다.
* 단추형 전지(리튬)의 경우는 주의·경고 표시 사항, 어린이보호포장을 포함하여 KS표준을 2021년 9월 14일 국제표준과 일치하여 개정 고시함(일차전지-제4부: 리튬전지의 안전성(KS C IEC 60086-4)

ㅇ 소비자원은 선제적으로 단추형 전지 및 사용 제품 제조·유통·판매업체 등 관련 업계에 전지의 어린이보호포장과 단자함 안전설계, 주의·경고표시를 강화토록 권고하였고, 업계는 이를 수용하여 자발적인 조치를 진행 중이다.
ㅇ 양 기관은 단추형 전지 안전사고로 인한 해외리콜 사례 및 불법·불량 제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한편, (사)한국전지재활용협회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 등과 협력하여 단추형 전지에 대한 소비자 안전의식 개선 캠페인도 전개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는 단추형 전지로 인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구입 시) 어린이보호포장이 적용된 단추형 전지를 구입하고, ▲(사용 시) 단추형 전지 사용 제품에 안전설계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 테이프 등을 붙여 전지가 이탈되지 않게 관리하며, ▲(보관·폐기 시) 단추형 전지는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폐기할 것을 당부했다.
* 어린이가 단추형 전지를 삼킨 경우 즉시 소아내시경이 가능한 병원 응급실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한다.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정보팀 윤혜성 팀   장 (043-880-5821)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정보팀 안세련 과  장 (043-880-5824)
     
                                                      

 

파일


총 게시물 1373 페이지 2 / 138
게시물 검색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363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품질비교 결과] 체중 감소 기능성분 함량 기준은 충족하나 중복섭취 주의 필요 hot 식품미생물팀 2025.05.21 254
1362 아기띠 사용 시 추락사고에 주의하세요! 위해예방팀 2025.05.19 212
1361 포토프린트 케이크에서 사용 불가 색소 검출 hot 식의약안전팀 2025.05.07 375
1360 휴대용 보조배터리, 안전하게 사용해요! hot 위해예방팀 2025.04.17 339
1359 (주)초콜릿코스메틱 자외선차단제 2개 제품, 환불 실시 hot 식의약안전팀 2025.04.16 303
1358 일부 반려동물 영양제, 표시된 양보다 기능성 원료가 적게 들어 있어 hot 식의약안전팀, 표시광고팀 2025.04.16 1225
1357 한국소비자원, 「BMS 정보제공 강화를 위한 협의회」 개최 위해관리팀 2025.04.11 236
1356 가스레인지 삼발이 커버, 사용에 주의해야 위해관리팀 2025.04.11 220
1355 고령운전자, 돌발상황 시 비고령운전자에 비해 반응속도 떨어져 생활안전팀 2025.04.10 201
1354 전동카트 대여서비스에 대한 안전관리 방안 마련 필요 hot 생활안전팀 2025.04.08 277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