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근거리 시력 저하되는 50대 이상에서 안약 오인 점안사고 다발
출처 위해예방팀
품목 의약(외)품 및 의료용품
조회수 1223
게시일 2021.08.25
근거리 시력 저하되는 50대 이상에서 안약 오인 점안사고 다발
- 무좀약, 피부질환약, 순간접착제, 반려동물 의약품 등 다양해 -

  ■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 이하 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조성욱, 이하 공정위)는 소비자들이 무좀약 등을 안약으로 오인해 눈에 넣는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ㅇ 황사·미세먼지 등 환경요인, 안구질환 치료 목적으로 안약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많은 가운데, 특히 여름철에는 유행성 눈병 등으로 안약을 점안하는 경우가 더욱 늘어난다.
ㅇ 소비자원과 공정위가 최근 3년간의 소비자위해정보를 분석한 결과, 무좀약·순간접착제 등을 안약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결막염 등 안구 손상을 입는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주의가 요구된다.
ㅇ 안약으로 착각한 품목은 ‘무좀약’이 40.1%로 가장 많았는데, 이는 덥고 습한 여름철에 특히 무좀약 사용이 증가하면서 가정에서 무좀약, 안약 등을 같이 보관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 소비자원과 공정위는 소비자들에게 위해사례와 사고예방 요령을 숙지하여 위해를 입지 않도록 당부하는 한편, 주요 무좀약 제약회사에 소비자가 오인하지 않도록 제품 용기 변경 등을 권고했다.
 

1   안전사고 발생 현황
 
□ 최근 3년간(2018년~2020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안약 오인 점안사고는 총 152건이며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8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6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CISS : 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연도별 현황]
(단위 : 건)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합계
건수 58 50 44 152

※ 제목코드에서 ‘안약’, ‘눈물’, ‘점안’, ‘눈에’ 검색 후 안약으로 오인한 사고만 추출
ㅇ 연령대를 분석한 결과 ‘60대 이상’ 50.0%(76건), ‘50대’ 22.4%(34건), ‘40대’ 10.5%(16건) 등의 순이었으며, 근거리 시력이 저하되는 ‘50대’와 ‘60대 이상’ 고령층이 전체의 72.4%를 차지했다.
ㅇ 안약으로 착각해 눈에 점안한 품목은 ‘무좀약’이 40.1%(61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습진ㆍ지루성 두피 치료약 등의 의약품**’ 24.3%(37건), ‘순간접착제’ 18.4%(28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무좀약의 경우 최근 3년간 연속해서 안약 오인 품목 1위를 차지
** 무좀약 이외 기타 의약품
[연령별 현황] [위해품목별 현황]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cb80004.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9pixel, 세로 461pixel
* 20대 5건(3.3%), 10대 미만 4건(2.6)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7440001.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68pixel, 세로 461pixel
* 렌즈세척액, 모기기피제, 방향제, 등
2   세부 안전사고 현황 및 주요 품목 용기 비교
가. 연령대별 주요 오인 품목
□ 연령대에 따라 안약으로 착각한 품목에 차이가 있었는데, ‘10대’·‘40대’는 ‘순간접착제’, ‘20대’는 ‘전자담배 액상’, ‘30대’는 ‘무좀약’과 ‘의약품’이 많았다.
ㅇ 안약 오인사고의 다수를 차지하는 ‘50대’·‘60대 이상’은 ‘무좀약’, ‘의약품’, ‘순간접착제’ 등 다양한 품목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했다.
- ‘10대 미만’은 4건 모두 미취학 아동에게 발생한 안전사고였으며, 이 중 ‘의약품’ 관련이 2건으로 보호자가 쓰는 녹내장약(만7세)과 귀에 넣는 외이도염약(만4세)을 눈에 넣은 사례였다. 영유아가 있는 가정에서는 의약품의 투약ㆍ보관, 생활화학제품 등의 보관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ㅇ 최근에는 반려동물용 ‘심장사상충 예방약’과 손톱에 바르는 ‘큐티클 수렴제’, ‘디퓨저 리필용액’ 등을 안약으로 착각한 사례가 발생하는 등 소비생활 변화에 따라 오인 제품의 유형이 다양해지고 있다.
-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에서는 동물용 안약·안구세정제·의약품 등을 인체용과 분리해 별도 장소에 보관하는 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코로나19 영향으로 네일아트 제품을 구입해 가정에서 직접 손톱을 관리하는 소비자가 많은데 이를 안약으로 오인하지 않도록 보관에 주의가 요구된다.
<주요 위해사례>
무좀약 (60대, 여) 2019년 10월, A씨는 발톱 무좀약을 안약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안구에 화상을 입고 병원 진료를 받음.
동물용
의약품
(60대, 여) 2020년 7월, B씨는 강아지 심장사상충 예방약을 인공눈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안구에 손상을 입고 병원 진료를 받음.
의약품 (4세, 남) 2018년 5월, C씨는 외이도염약을 안약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약물 오용에 의한 안구의 이물감과 통증으로 병원 진료를 받음.
전자담배
액상
(10대, 남) 2018년 4월, D씨는 전자담배 액상첨가제를 안약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안구에 손상을 입고 병원 진료를 받음.
순간접착제 (70대, 남) 2019년 7월, G씨는 순간접착제를 인공눈물로 착각하고 눈에 넣어 눈꺼풀에 피부 손상을 입고 병원 진료를 받음.
나. 주요 안약 오인 품목의 용기형태 비교(예시)
□ 무좀약
[점안액 형태] 안약 vs 무좀약 (좌 : 안약, 우 : 무좀약)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1.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11pixel, 세로 168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2.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8pixel, 세로 167pixel
뚜껑 개봉 전 뚜껑 개봉 후
[안연고 형태] 안약 vs 무좀약 (위 : 안약, 아래 : 무좀약)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3.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2pixel, 세로 163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4.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2pixel, 세로 164pixel
뚜껑 개봉 전 뚜껑 개봉 후
□ 반려동물용 ‘심장사상충 예방약’
[안연고 형태] 안약 vs 심장사상충 예방약 (위 : 안약, 아래 : 심장사상충 예방약)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5.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2pixel, 세로 176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6.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2pixel, 세로 174pixel
뚜껑 개봉 전 뚜껑 개봉 후
3   당부 및 조치사항

 
□ 소비자원과 공정위는 안약 오인 점안사고 예방을 위해 ▲고령자는 용기에 제품명 및 용도를 큰 글씨로 써 붙여 놓을 것, ▲안약을 눈에 넣기 전에 반드시 처방 받은 안약이 맞는지 확인할 것, ▲가정에서는 의약품을 어린이 손이 닿지 않는 곳에 보관하고, 보호자는 영유아가 보는 앞에서 안약을 점안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ㅇ 또한 안약이 아닌 의약품이나 제품을 눈에 잘못 넣었을 경우 ▲절대 눈을 비비거나 만지지 말 것, ▲눈에 내용물이 들어간 즉시 깨끗한 생리식염수나 물을 사용하여 씻어낼 것, ▲응급 처치 후 가까운 응급실 및 안과를 방문해 진료 받을 것 등을 조언했다.
 
□ 한편 소비자원과 공정위의 권고에 따라 동아제약㈜, 삼일제약㈜, ㈜유한양행은 향후 출시되는 자사 무좀약 용기에 발모양 픽토그램을 삽입하고 사용설명서의 주의문구를 강화하는 등 소비자 안전사고 예방 조치를 취하기로 했다.
 
<붙임> 1. 안약 오인 점안사고 위해사례 현황
2. 주요 안약 오인 품목의 용기형태 비교
3. 안약 오인 점안사고 예방을 위한 소비자 주의사항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예방팀 정은선 팀   장 (043-880-5421)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예방팀 김지연 조사관 (043-880-5426)
                                                      

 

파일 210825_안약 오인 점안사고 소비자안전주의보_보도자료.hwp210825_안약 오인 점안사고 소비자안전주의보_보도자료.hwp
210825_안약 오인 점안사고 소비자안전주의보_보도자료.pdf210825_안약 오인 점안사고 소비자안전주의보_보도자료.pdf


총 게시물 1369 페이지 1 / 137
게시물 검색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369 일부 자외선차단제, 기능성 광고 개선 필요 식의약안전팀 2025.06.26 152
1368 장 폐색 유발할 수 있는 수정토(워터비즈), 어린이 사용 주의! 위해예방팀 2025.06.25 66
1367 [벽걸이형 에어컨 품질비교 결과] 냉방속도·온도편차 등 주요 성능과 가격·에너지비용에 차이 있어 용도에 맞는 제품 선택해야 기계모빌리티팀 2025.06.23 73
1366 [간편식 냉면 품질비교 결과] 냉면, 식감과 매운맛에 차이 있고 육수·비빔장 조절해 나트륨 섭취 줄여야 식품미생물팀 2025.06.19 76
1365 소비생활안전신고·물가정보, 민간 앱을 통해 손쉽게 확인 가능 위해정보팀, 가격조사팀 2025.06.19 139
1364 국내 제조 미용 접착제 3종 환불 실시 위해관리팀 2025.06.13 143
1363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품질비교 결과] 체중 감소 기능성분 함량 기준은 충족하나 중복섭취 주의 필요 식품미생물팀 2025.05.21 234
1362 아기띠 사용 시 추락사고에 주의하세요! 위해예방팀 2025.05.19 184
1361 포토프린트 케이크에서 사용 불가 색소 검출 hot 식의약안전팀 2025.05.07 357
1360 휴대용 보조배터리, 안전하게 사용해요! hot 위해예방팀 2025.04.17 303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