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일부 합성가죽 재질의 태블릿 케이스에서 유해물질 검출
출처 제품안전팀
품목 가전제품 및 정보통신기기
조회수 1299
게시일 2021.08.24
일부 합성가죽 재질의 태블릿 케이스에서 유해물질 검출

코로나19 환경의 장기화로 온라인수업 및 재택근무 시 태블릿·노트북 등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태블릿 케이스, 이어폰, 헤드셋 등 관련 주변용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스마트기기 주변용품 42개 제품*을 대상으로 안전성 및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합성가죽 재질의 태블릿 케이스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돼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태블릿 케이스 22개, 이어폰 10개, 헤드셋 10개
□ 합성가죽 재질의 태블릿 케이스 3개 제품에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납 검출
합성수지 재질의 ‘태블릿 케이스, 이어폰, 헤드셋’은「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안전기준준수대상 생활용품(합성수지제품 안전기준*)으로 관리되고 있으나, 합성가죽 등 그 외 재질에 대한 안전기준은 없는 실정이다.
* 안전기준준수대상 생활용품의 안전기준 부속서 24(국가기술표준원 고시 제2019-352호)
시중에 유통 중인 ‘태블릿 케이스, 이어폰, 헤드셋’에 대해 합성수지제품 안전기준을 적용ㆍ준용한 안전성 시험검사 결과, 합성가죽 재질의 태블릿 케이스 10개 중 3개 제품(30.0%)에서 준용 기준(0.1% 이하)을 최대 169배(13.6% ~ 16.9%) 초과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됐다. 또한 이 중 1개 제품에서는 납이 동 준용 기준(300mg/kg 이하)을 11배(3,396.7mg/kg) 초과하여 검출됐다.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납이 검출된 3개 사업자는 국내기준은 없으나 소비자안전 확보를 위해 판매를 중지하고 소비자 요청 시 교환·환불 등 자발적 시정을 하기로 회신함.
[ 태블릿 케이스 유해물질 검출현황 ]
 
제조·수입자명 제품명 색상 재질 시험항목 검출량
㈜코시 7형 태블릿 PC 케이스 키보드(KB1216CS) 블랙 합성
가죽

[준용기준: 300mg/kg 이하]
3,396.7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준용기준: 총합 0.1% 이하]
13.6
주식회사 유비코퍼레이션 ip Air 4
(아이패드 에어4세대 크로스 레더 케이스)
브라운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준용기준: 총합 0.1% 이하]
16.9
㈜비즈모아코리아 갤럭시탭4 Advanced 10.1 T530/536 회전케이스 레드 14.4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내분비계 교란 물질로 간·신장 등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남성 정자 수 감소, 여성 불임 등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침.
  • : 어린이 지능 발달 저하, 식욕부진, 빈혈, 근육약화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는 인체발암가능물질(Group 2B)로 분류하고 있음.

원격수업·온라인 영상 시청이 빈번해지면서 스마트기기 및 주변용품의 사용연령대가 성인부터 어린이까지 넓어지고 있어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요하나 재질별 관리기준이 달라 유해물질이 검출되는 등 안전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실정이다.
유럽연합(EU)은 피부 접촉이 이루어지는 모든 소비재에 유해물질 안전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도 합성수지제품 안전기준 적용 범위를 합성가죽 등 피부 접촉 부위에 합성수지가 코팅된 제품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 태블릿 케이스, 이어폰, 헤드셋 대부분 표시 미흡
재질에 따라 스마트기기 주변용품에 대한 표시기준 유무가 달라 합성수지제품 안전기준을 적용ㆍ준용하여 정보제공 여부를 확인한 결과 조사대상 42개 중 36개 제품(85.7%, 태블릿 케이스 19개, 이어폰 8개, 헤드셋 9개)은 관련 표시를 일부 누락하고 있어 개선이 필요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기술표준원에 ▲합성수지제품 안전기준 적용범위 확대, ▲스마트기기 주변용품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예정이다.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제품안전팀 서영호 팀   장 (043-880-5631)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제품안전팀 이안나 책임연구원 (043-880-5633)
                                                      

 

파일 210818_스마트기기 주변용품 안전실태_보도자료.hwp210818_스마트기기 주변용품 안전실태_보도자료.hwp


총 게시물 1373 페이지 1 / 138
게시물 검색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373 무선충전기, 충전은 간편하게 사용은 안전하게! 위해예방팀 2025.07.09 50
1372 품질·가격 비교정보, 소비자의 제품 구매 결정에 끼치는 영향력 높아 시험기획팀 2025.07.09 55
1371 [무선이어폰 품질비교 결과] 음향·소음 제거·통화품질과 가격 차이 커 꼼꼼히 따져보고 구매해야 디지털정보통신팀 2025.07.07 62
1370 [배드민턴화 품질비교 결과] 미끄러지지 않는 정도 등 기능 특성은 제품 간 차이 있어 섬유신소재팀 2025.07.03 48
1369 일부 자외선차단제, 기능성 광고 개선 필요 식의약안전팀 2025.06.26 201
1368 장 폐색 유발할 수 있는 수정토(워터비즈), 어린이 사용 주의! 위해예방팀 2025.06.25 110
1367 [벽걸이형 에어컨 품질비교 결과] 냉방속도·온도편차 등 주요 성능과 가격·에너지비용에 차이 있어 용도에 맞는 제품 선택해야 기계모빌리티팀 2025.06.23 191
1366 [간편식 냉면 품질비교 결과] 냉면, 식감과 매운맛에 차이 있고 육수·비빔장 조절해 나트륨 섭취 줄여야 식품미생물팀 2025.06.19 101
1365 소비생활안전신고·물가정보, 민간 앱을 통해 손쉽게 확인 가능 위해정보팀, 가격조사팀 2025.06.19 213
1364 국내 제조 미용 접착제 3종 환불 실시 위해관리팀 2025.06.13 207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