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가공식품, 당류 및 나트륨 저감화 노력 필요
출처 식품미생물팀
품목 식료품/기호품
조회수 1416
게시일 2021.06.29
“가공식품, 당류 및 나트륨 저감화 노력 필요”
- 어린이 음료·치즈의 당류·나트륨은 감소됐으나, 과자류·죽류는 오히려 증가 -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지난 2012년부터 품질비교사업을 바탕으로 식품품질조사*를 수행했으며, 소비자에게 식품의 당류 및 나트륨 함량 정보를 제공하고 사업자들에게는 저감을 권고한 바 있다.
* 2012년(고추장, 어린이 음료, 프랜차이즈 치킨), 2013년(어린이용 치즈), 2014년(라면, 오렌지주스, 커피믹스), 2015년(과자류, 두유, 발효유, 피자), 2016년(에너지음료, 프랜차이즈 치킨), 2017년(즉석죽), 2018년(어린이음료), 2019년(인스턴트 건면, 즉석삼계탕)
이에 당류 및 나트륨 함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추적이 가능한 제품(당류 111개, 나트륨 122개)을 대상으로 조사 시점 대비 현재까지 최대 10년(‘12~19년) 간의 함량 변화를 확인했다.
그 결과, 당류는 32%, 나트륨은 49%의 제품만이 당류 및 나트륨 함량이 감소해 여전히 저감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 당시 당류와 나트륨 저감 자율개선 계획을 제출한 제품의 이행 실천율도 약 53% 수준으로 미흡했다.
□당류 및 나트륨 저감화 미흡 (세부내용, 붙임자료 5, 7페이지)
ㅇ (당류) 총 111개 제품을 대상으로 함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당류가 저감화된 제품은 35개(32%)였고, 전체 평균 당류 함량은 1.3% 증가했다.
ㅇ (나트륨) 총 122개 제품을 대상으로 함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나트륨이 저감화된 제품은 60개(49%)였고, 전체 평균 나트륨 함량은 1.8% 감소했다.
□ 품목별 증감 경향 달라 (세부내용, 붙임자료 6, 8페이지)
ㅇ 어린이음료, 어린이치즈 등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제품들의 당류 및 나트륨 함량은 크게 감소했다.
- 어린이음료(2012)는 7개 제품 중 5개 제품(71%)의 당류 함량이 저감됐으며, 어린이치즈(2013)는 13개 제품 중 12개 제품(92%)의 나트륨 함량이 저감됐다.
ㅇ 반면, 과자류와 즉석죽의 당류 및 나트륨 함량은 증가했다.
- 과자류(2015)는 20개 제품 중 10개 제품(50%)의 당류 함량이 증가됐으며, 즉석죽(2017)은 9개 제품 모두 나트륨 함량이 증가했다.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810000c.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88pixel, 세로 183pixel
* 당류 함량이 5g/100g 또는 2.5g/100ml 미만으로 함량이 미미하여 증감비교대상에서 제외함.

ㅇ 향후, 한국소비자원은 당류와 나트륨이 증가하거나 저감화가 저조한 제품군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저감화를 유도할 예정이다.
□ 사업자의 자율개선 이행 실천 낮아 적극적 참여 필요 (세부내용, 붙임자료 9페이지)
ㅇ 2012년 이후 시행된 조사 결과와 관련하여 당시 당류 및 나트륨 저감 계획을 제출한 사업자에 대해 저감화 이행 실적을 확인한 결과, 총 51개 제품 중 27개(약 53%)의 제품만 저감화된 것으로 나타나 사업자의 적극적 이행 노력이 필요하다.
- 당류 함량 저감 계획을 제출한 20개 제품 중 14개(70%) 제품이 저감화됐고, 나트륨 함량 저감 계획을 제출한 31개 제품 중 13개(42%) 제품만 저감화된 것으로 확인됐다.
※ 저감화 자율개선 미이행 사업자는 향후 개선 계획을 회신함.
한국소비자원은 관련 업계에 당류 및 나트륨 저감 제품 개발을 적극 권고하는 한편, 앞으로도 사업자의 자율 개선 이행 실적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또한 ▲소비자가 당류 및 나트륨 저감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관련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을 강화하고, ▲소비자가 저감 제품을 쉽게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전용 판매구역(온·오프라인) 설치를 관련 사업자에게 권고할 예정이다.
 

  • 보충취재시험검사국 식품미생물팀 홍준배 팀   장 (043-880-5871)
  • 보충취재시험검사국 식품미생물팀 임다희 선임연구원 (043-880-5874)
                                                      

 

파일 210609_식품의 당류·나트륨 저감화 현황 조사 결과_보도자료.hwp210609_식품의 당류·나트륨 저감화 현황 조사 결과_보도자료.hwp
210609_식품의 당류·나트륨 저감화 현황 조사 결과_보도자료.pdf210609_식품의 당류·나트륨 저감화 현황 조사 결과_보도자료.pdf


총 게시물 1373 페이지 1 / 138
게시물 검색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373 무선충전기, 충전은 간편하게 사용은 안전하게! 새글 위해예방팀 2025.07.09 14
1372 품질·가격 비교정보, 소비자의 제품 구매 결정에 끼치는 영향력 높아 새글 시험기획팀 2025.07.09 9
1371 [무선이어폰 품질비교 결과] 음향·소음 제거·통화품질과 가격 차이 커 꼼꼼히 따져보고 구매해야 새글 디지털정보통신팀 2025.07.07 39
1370 [배드민턴화 품질비교 결과] 미끄러지지 않는 정도 등 기능 특성은 제품 간 차이 있어 섬유신소재팀 2025.07.03 36
1369 일부 자외선차단제, 기능성 광고 개선 필요 식의약안전팀 2025.06.26 182
1368 장 폐색 유발할 수 있는 수정토(워터비즈), 어린이 사용 주의! 위해예방팀 2025.06.25 96
1367 [벽걸이형 에어컨 품질비교 결과] 냉방속도·온도편차 등 주요 성능과 가격·에너지비용에 차이 있어 용도에 맞는 제품 선택해야 기계모빌리티팀 2025.06.23 90
1366 [간편식 냉면 품질비교 결과] 냉면, 식감과 매운맛에 차이 있고 육수·비빔장 조절해 나트륨 섭취 줄여야 식품미생물팀 2025.06.19 90
1365 소비생활안전신고·물가정보, 민간 앱을 통해 손쉽게 확인 가능 위해정보팀, 가격조사팀 2025.06.19 179
1364 국내 제조 미용 접착제 3종 환불 실시 위해관리팀 2025.06.13 184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