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네이버·G마켓 등 5개 사업자들과 자율 제품안전 협약 체결
출처 위해관리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1193
게시일 2021.04.26
네이버·G마켓 등 5개 사업자들과 자율 제품안전 협약 체결
- 위해제품의 유통 차단 및 재유통 방지 등을 통해 소비자 안전 강화 -

□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조성욱)와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위해제품의 온라인 유통·판매로부터 소비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2021년 4월 22일 5개 오픈마켓 사업자들(네이버, 11번가, 이베이코리아, 인터파크, 쿠팡)과「자율 제품안전 협약식」을 개최하였다.
 

[ 자율 제품안전 협약 주요내용 ]
 
① 위해제품의 유통·판매 차단 및 차단된 제품의 재유통 방지
② 위해제품의 리콜이나 시정조치에 대한 소비자 정보 제공
③ 제품 안전 관련 정보 등을 게시하거나 공지하여 입점업체들의 제품 안전 관련 법령 준수 촉진
④ 위해제품을 반복적으로 판매하는 상습 위반 업체에 대한 조치방안 마련
⑤ 정부의 위해제품 통보 및 유통·판매 차단 요청을 위한 연락망 제공
⑥ 위해제품에 대한 유통·판매 차단 요청 시 위해제품 목록 신속히 삭제
⑦ 위해제품을 구매한 소비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 정부와 협력범위 사전 협의
⑧ 정부의 위해제품 관련 요청사항 및 제품안전 확보를 위한 조치 성실 이행
 
□ 이번 오픈마켓에 관한 자율협약은 온라인 거래 증가와 함께 위해제품의 온라인 유통·판매에 따른 소비자 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온라인플랫폼 5대 사업자들이 자발적으로 소비자 안전을 위한 자율적인 조치를 약속한 데에 의의가 있다.
□ 최근 디지털 비대면 거래의 확산에 따라 국내 온라인 쇼핑 및 해외직구·구매대행 등을 통한 해외 직접구매 등 전체 온라인 쇼핑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구 분 2018년 2019년 2020년
국내 온라인쇼핑 114 135 161
온라인 해외 직접구매 2.9 3.6 4.1
※ 출처: 통계청, 온라인 쇼핑 동향
 
ㅇ 그러나, 온라인 거래가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 피해 역시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위해제품 관련 소비자 피해의 경우 소비자의 생명·신체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 보호를 위한 대책이 더욱 절실한 상황이다.
구 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자진 리콜 556 529 962 1,021 699
리콜 권고 191 174 184 234 273
리콜 명령 856 701 1,074 1,268 1,241
합 계 1,603 1,404 2,220 2,523 2,213

 
□ 해외의 경우 유럽연합(EU)은 이미 2018년 6월 Amazon, eBay, AliExpress, Rakuten France 등 4개 사업자들과 함께 자사 홈페이지에서 위험한 제품을 신속히 제거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제품안전 협약서를 발표한 바 있다.
 
ㅇ 또한, 호주 경쟁소비자위원회(ACCC)*는 2020년 11월 Amazon Australia, eBay Australia & New Zealand, Alibaba Group, Catch Marketplace 등 4개 사업자들과 제품안전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 ACCC : Australian Competition and Consumer Commission
 
ㅇ 한편, 유럽연합 및 호주 경쟁소비자위원회가 全 세계적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지침 마련을 제안함에 따라 OECD는 2021년 4월 제품안전 서약 성명 초안을 마련하였고, 2021년 6월 이를 공표할 예정이다.
 
□ 이러한 배경 하에, 공정위, 한국소비자원, 그리고 5개 오픈마켓 사업자들은 OECD의 제품안전 서약 성명 초안을 바탕으로 사업자들의 8가지 준수사항을 담은 자율협약안을 마련하였다.
□ 조성욱 공정거래위원장은 환영사에서 “위해제품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는 것인 이미 세계적인 추세이며, 최근 경제계의 화두인 ESG(Environmental·Social·Governance) 경영 역시 소비자 안전과 무관하지 않다”고 언급하며,
 
ㅇ “소비자 안전을 더 이상 비용으로 여길 것이 아니라, 소비자 보호를 위한 장치를 섬세하게 설계해 나갈 것”을 강조하였다.
 
ㅇ 아울러, “오픈마켓의 혁신성을 고려하여 기업의 자율에 맡길 때 보다 효과적인 부분들은 자율협약을 통해 기업들 스스로 소비자 안전을 도모하도록 유도하되, 자율에만 전적으로 맡기기 어려운 최소한의 필수사항들은 전자상거래법 전면개정안을 통해 법적 근거를 마련해나갈 예정”이며,
 
ㅇ 이를 통해 “전자상거래 분야에서 리콜제도가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하고 위해제품이 소비자에게 유통되는 것을 신속하게 차단할 예정”이라고 하였다.
□ 한편, 이희숙 한국소비자원장은 “안전할 권리는 소비자의 가장 기본적인 권리 중에 권리로, 소비자 안전이 확보되지 않으면 시장과 기업 또한 성장 동력을 잃고 말 것”임을 강조하며, “소비자와 기업이 모두 이득이 되는 안전한 시장을 만드는 데에 앞장서달라”고 하였다.
 
□ 이번 자율협약을 계기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소비자 피해에 대해 오픈마켓 사업자들의 실질적인 협력을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ㅇ 공정위와 소비자원은 앞으로도 위해제품의 유통·판매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그에 대한 조치를 취하는 한편, 위해제품에 대한 정보를 오픈마켓 사업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전달할 예정이다.
 
<붙임> 1. 오픈마켓 사업자와의 자율 제품안전 협약식 행사 개요
2. 자율 제품안전 협약 전문
3. 공정거래위원장 말씀자료
4. 한국소비자원장 말씀자료
5. 소비자 안전 관련 해외동향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관리팀 윤혜성 팀   장 (043-880-5821)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관리팀 백승훈 대   리 (043-880-5825)
                                                      

 

파일 210422_자율 제품안전 협약 체결_보도자료.hwp210422_자율 제품안전 협약 체결_보도자료.hwp
210422_자율 제품안전 협약 체결_보도자료.pdf210422_자율 제품안전 협약 체결_보도자료.pdf


총 게시물 1370 페이지 1 / 137
게시물 검색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370 [배드민턴화 품질비교 결과] 미끄러지지 않는 정도 등 기능 특성은 제품 간 차이 있어 새글 섬유신소재팀 2025.07.03 23
1369 일부 자외선차단제, 기능성 광고 개선 필요 식의약안전팀 2025.06.26 163
1368 장 폐색 유발할 수 있는 수정토(워터비즈), 어린이 사용 주의! 위해예방팀 2025.06.25 78
1367 [벽걸이형 에어컨 품질비교 결과] 냉방속도·온도편차 등 주요 성능과 가격·에너지비용에 차이 있어 용도에 맞는 제품 선택해야 기계모빌리티팀 2025.06.23 82
1366 [간편식 냉면 품질비교 결과] 냉면, 식감과 매운맛에 차이 있고 육수·비빔장 조절해 나트륨 섭취 줄여야 식품미생물팀 2025.06.19 84
1365 소비생활안전신고·물가정보, 민간 앱을 통해 손쉽게 확인 가능 위해정보팀, 가격조사팀 2025.06.19 155
1364 국내 제조 미용 접착제 3종 환불 실시 위해관리팀 2025.06.13 153
1363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품질비교 결과] 체중 감소 기능성분 함량 기준은 충족하나 중복섭취 주의 필요 식품미생물팀 2025.05.21 241
1362 아기띠 사용 시 추락사고에 주의하세요! 위해예방팀 2025.05.19 193
1361 포토프린트 케이크에서 사용 불가 색소 검출 hot 식의약안전팀 2025.05.07 363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