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자동차 재생에어백 운전자 안전 위협
출처 생활안전팀
품목 자동차 및 관련용품
조회수 1380
게시일 2021.03.11
자동차 재생에어백 운전자 안전 위협
- 재생에어백 불법 유통·설치에 대한 단속관리 강화 필요 -
에어백은 교통사고 시 운전자의 중상해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중요한 안전장치이나, 안전성을 이유로 재사용이 금지된 재생에어백이 불법으로 유통·설치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
※ 재생에어백 : 폐차된 차의 에어백 모듈을 탈거하여 재설치하거나 이미 터져있는 에어백을 모듈 내에 삽입·복원한 에어백
이는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보험개발원(원장 강호)과 공동으로 재생에어백 설치 실태를 조사하고 자동차 충돌시험을 통해 안전성을 확인한 결과로 밝혀졌다.
□ 재생에어백 장착 자동차 4대 중 1대는 충돌 시 에어백 전개되지 않아
차량 충돌시험 결과, 재생에어백을 설치한 자동차 4대 중 1대의 에어백이 전개되지 않아 사고 발생 시 인명 피해 위험이 높았다. 이는 충돌 시 자동차의 에어백 전개를 제어하는 ACU*가 재설치된 재생에어백을 인식하지 못한 것이 원인으로 파악됐다.
* 에어백제어장치(ACU, Airbag Control Unit) : 사고 시 자동차에 가해진 충돌의 강도에 따라 에어백의 작동을 제어
<차량충돌 시험 결과>
(단위:ms=1/1,000초)
구분 자동차충돌 직전 자동차 충돌 직후 에어백 전개
에어백
미전개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미전개 차량충돌.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2pixel, 세로 121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미전개 차량충돌직후.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0pixel, 세로 122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미전개 에어백전개.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4pixel, 세로 121pixel
에어백
전개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전개 차량충돌.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4pixel, 세로 119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전개 차량충돌직후.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0pixel, 세로 119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전개 에어백전개.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58pixel, 세로 119pixel
※ 시험조건 : 고속(56km/h)으로 자동차를 고정벽에 정면으로 충돌시켜 에어백의 정상 전개 여부 확인
□ 재생에어백 설치 비용, 정품 대비 최대 85% 저렴해
한국소비자원이 구입한 중고 자동차 4대에 재생에어백을 설치*한 비용은 165,000원 ∼ 1,110,000원으로 자동차 제조사의 직영사업소에서 정품 에어백을 재설치하는 비용보다 최대 85% 이상 저렴했다. 소비자가 재생에어백 설치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어 일부 공업사들이 차량 수리 시 정품 에어백 대신 재생에어백을 설치해 수익률을 높이려고 할 수도 있어 불법 유통ㆍ판매 및 설치에 대한 단속 강화가 시급하다.
* 보험개발원에서 운전석 에어백을 강제 전개 시킨 후, 수리업체에 재생에어백 설치를 의뢰
<재생에어백 설치 비용 비교>
(단위 : 천원)
구분 A 사(社) B 사(社) C 사(社) D 사(社) 평균
정품에어백 복원 1,750 1,500 890 680 1,205
재생에어백 설치 1,100 220 550 165 509
비용차이(%) 650(37.1%↓) 1,280(85.3%↓) 340(38.2%↓) 515(75.7%↓) 696(57.7%↓)
 □ 중고차 구입 시 에어백 성능 정보 제공해야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재생에어백은 성능과 관계없이 시중에 유통되거나 차량에 설치되면 안 되므로 관련 업체 및 소비자들이 불법행위를 하지 않도록 계도가 필요하다. 또한 중고차 구입 시 자동차 매매 사업자로부터 교부받는 성능·상태 점검기록부의 점검 항목에는 에어백이 제외되어 있어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한국소비자원은 국토교통부에 ▲재생에어백의 불법 유통·판매 및 설치에 대한 단속 강화, ▲중고자동차 성능·상태 점검기록부에 에어백 관련 항목을 추가하도록 요청할 예정이다.
또한 소비자 안전 확보를 위해 향후에도 자동차 성능ㆍ안전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생활안전팀 심성보 팀   장 (043-880-5831)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생활안전팀 백민경 과   장 (043-880-5832)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생활안전팀 윤성문 조 사 관 (034-880-5837)
                                                      

 

파일 210308_자동차 재생에어백 안전실태_보도자료.hwp210308_자동차 재생에어백 안전실태_보도자료.hwp
210308_자동차 재생에어백 안전실태_보도자료.pdf210308_자동차 재생에어백 안전실태_보도자료.pdf


총 게시물 1373 페이지 3 / 138
게시물 검색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353 늘어나는 반려동물 동반 음식점, 반려동물 인구 증가ㆍ인식 변화에 부합하는 위생ㆍ안전관리 체계 마련 필요 hot 생활안전팀 2025.04.03 290
1352 맥주효모ㆍ비오틴 식품, 모발 건강 효과와 무관 hot 식의약안전팀 2025.04.01 696
1351 일회용 액상 전자담배에서 유사 니코틴 검출 hot 식의약안전팀 2025.03.28 399
1350 추락·미끄러짐 등 가정 내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위해예방팀 2025.03.25 227
1349 공영주차장 내 전기차 전용주차구역, 화재안전성 강화 필요 hot 생활안전팀 2025.03.20 326
1348 봄철 캠핑, 화상과 일산화탄소 중독 주의하세요 위해예방팀 2025.03.18 234
1347 길어지는 무더위를 대비해 에어컨 무상 안전점검 받으세요 hot 위해예방팀 2025.03.17 501
1346 닌자 프로페셔널 초퍼 블렌더, 자발적 용기 제공 실시 위해관리팀 2025.03.14 234
1345 [양모솜 이불 품질비교 결과] 봄·가을용 양모솜 이불, 사용 계절에 적합한 수준의 보온성 갖춰 섬유신소재팀 2025.03.14 202
1344 육포의 나트륨ㆍ당류 함량, 제품 간 차이 커 hot 식품미생물팀 2025.03.11 259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