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소비자 5명 중 1명이 렌터카 이용 중 차량 고장을 경험해
출처 소비자시장연구팀
품목 자동차 및 관련용품
조회수 1659
게시일 2021.01.21
소비자 5명 중 1명이 렌터카 이용 중 차량 고장을 경험해
- 와이퍼, 라이트 등 안전 관련 항목의 고장률이 높고 일상점검도 미흡 -

렌터카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교통사고 등 안전사고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 렌터카 시장 성장률 : 2017년 661,968대 → 2019년 855,369대(한국렌터카사업조합연합회)
렌터카 교통사고 건수 : 2017년 7,837건 → 2019년 9,976건(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
이와 관련하여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최근 1년 이내에 단기* 렌터카를 대여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렌터카의 안전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 단기 렌터카: 대여기간이 1달 미만인 경우

[ 조사 개요 ]

□ 조사대상 : 최근 1년 이내에 단기렌터카 대여 경험이 있는 소비자 1,000명
□ 조사기간 : 2020. 7. 7. ~ 7. 15.
□ 표본오차 : 95% 신뢰수준에서±3.1%p
□ 차체외관에 비해 와이퍼, 라이트 등에 대한 안전관련 항목 점검이 미흡해
설문조사 결과, 렌터카 운행 중 차량 고장을 경험한 소비자는 20.1%(201명)였고, 고장 항목(중복응답)은 와이퍼 34.8%, 라이트 25.4%, 창문개폐 22.4% 순이었다.
[ 차량 고장 항목 ]
(N=201, 중복응답)
고장항목 와이퍼 라이트 창문개폐 브레이크 타이어 엔진 변속기 기타
비율(%) 34.8 25.4 22.4 21.9 21.9 20.9 17.9 1.5
건수(명) 70 51 45 44 44 42 36 3
대여 전 차량점검 방식은 차체외관의 경우 76.7%의 소비자가 직원과 함께 점검하거나 직원과 함께 점검 후 본인이 다시 재점검을 실시했고, 연료량도 73.4%의 소비자가 같은 방법으로 점검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안전과 직결되는 항목 중 엔진오일을 직원과 점검한 비율은 47.4%에 불과했고, 와이퍼와 라이트도 직원과 점검한 비율이 각각 48.0%와 57.3%에 그쳤다. 특히 고장률이 높게 나타난 와이퍼와 라이트의 경우 차체외관, 연료량보다 점검이 미흡해 개선이 요구된다.
[ 차량 점검 방식 ]
(N=1,000, 단위: %)
항목 직원과의 점검 본인 혼자서 점검함 점검한 적 없음
직원과 함께 점검함 직원과 함께 점검 했지만 본인이 다시 점검함 합계
와이퍼 34.0 14.0 48.0 30.2 21.8
라이트 41.9 15.4 57.3 26.7 16.0
타이어 47.2 16.3 63.5 23.6 12.9
엔진오일, 냉각수 32.3 15.1 47.4 18.6 34.0
연료량 54.0 19.4 73.4 20.2 6.4
차체 외관 55.4 21.3 76.7 18.9 4.4
 □ 소비자의 절반 이상이 안전점검에 관한 정보부족으로 불안감 느껴
렌터카를 이용한 소비자의 54.6%는 차량 안전점검에 관한 정보부족으로 인해 불안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평소에 이용하지 않아 익숙하지 않은 차량 유형을 대여했을 때 느끼는 불안감(48.2%)보다 더 높은 수준이다. 또한 운행방법에 관한 정보부족의 경우도 40.9%의 소비자가 불안감을 느껴 이를 위한 간략 매뉴얼 배포 등의 지원이 요구된다.
[ 렌터카 인수 시, 불안감의 정도 ]
(N=1,000, 단위: %)
구분 매우 불안함 조금 불안함 보통 불안
하지 않음
전혀 불안
하지 않음
종합
불안함
불안
하지 않음
안전점검에 대한 정보부족 12.8 41.8 36.2 8.3 0.9 54.6 9.2
평소에 이용하지 않아 익숙하지 않은 차량 유형 10.0 38.2 32.0 16.6 3.2 48.2 19.8
운행방법에 대한 정보부족 9.0 31.9 42.6 14.6 1.9 40.9 16.5
 □ 일상점검 고지의 필요성 높게 인식해
렌터카 인수 시 안전성 제고를 위해 안전점검 내역을 고지 받은 소비자는 51.0%에 불과한 반면, 82.2%의 소비자는 일상점검*을 고지 받는 절차가 필요하다고 응답해 소비자 안전 확보를 위한 관리 방안의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 렌터카 사업자가 고객과 함께 계약서에 첨부된 점검표에 따라 차량을 확인하는 절차
[ 렌터카 사업자로부터 제공받은 항목 ]
(N=1,000, 단위: %, 중복응답)
구분 안전점검
내용
계약 시 선택한 장치 등의 설치 확인 및 작동 방법 등 사고 유/무, 사고가 난 경우 수리 내역 등 기본 공구의 적재 여부 리콜 대상 유/무, 리콜 대상인 경우 완료 조치 내역 등 제공받은 경험 없음
전체 51.0 49.7 43.2 38.2 27.8 16.6
[ 일상점검 고지의 필요성 ]
(N=1,000, 단위: %)
구분 전혀 필요
하지 않음
필요
하지 않음
보통 필요함 매우 필요함 종합
불필요 필요
일상점검 고지 0.0 1.0 16.8 55.9 26.3 1.0 82.2
자동차대여 표준약관 12조(점검표 작성 등)
회사는 고객과 함께 임대차계약서에 첨부된 점검표에 의해 일상점검과 차체외관, 기본공구의 적재, 연료량 등을 확인한 후 렌터카를 인도합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렌터카 인수 시 와이퍼, 라이트 등 고장이 많은 부분에 대해 일상점검이 철저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업자들에 대한 지도·감독을 강화 해줄 것을 관계 부처에 건의했다.
 
 
 

  • 보충취재정책연구실 소비자시장연구팀 이경아 팀   장 (043-880-5671)
  • 보충취재정책연구실 소비자시장연구팀 강하영 선   임 (043-880-5904)
                                                      

 

파일 210118_렌터카 안전성 진단 설문조사 결과_보도자료.hwp210118_렌터카 안전성 진단 설문조사 결과_보도자료.hwp
210118_렌터카 안전성 진단 설문조사 결과_보도자료.pdf210118_렌터카 안전성 진단 설문조사 결과_보도자료.pdf


총 게시물 1373 페이지 4 / 138
게시물 검색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343 일부 캠핑용 가스누설경보기 성능 미흡해 hot 제품안전팀 2025.03.07 266
1342 전자파 차단 제품, 차단 효과가 미미하거나 차단 범위가 제한적 스마트제품시험국 2025.02.28 248
1341 해외에서 리콜된 제품의 국내 유통 올해도 증가 hot 위해관리팀 2025.02.25 333
1340 생활가전 부품부터 안전관리…민관 협력으로 살생물제 안전관리 지침 마련 hot 위해예방팀 2025.02.24 272
1339 해외직구 디지털 도어록, 일부 제품 화재발생 시 문 열 수 없어 hot 기계모빌리티팀 2025.02.18 346
1338 일부 공공수영장에서 유리잔류염소ㆍ결합잔류염소 초과 검출 hot 생활안전팀 2025.02.13 269
1337 [일체형 세탁건조기 품질비교 결과] 기존 개별 제품보다 세탁성능은 개선, 건조성능은 비슷해 hot 전기가전팀 2025.02.11 283
1336 한국소비자원, 행정안전부와 「안전문화 사회공헌활동 업무협약」 체결 위해예방팀 2025.02.10 213
1335 다중이용시설의 슬라이딩 도어 끼임·충돌 예방대책 미흡 hot 생활안전팀 2025.02.06 281
1334 [태블릿 PC 품질비교] 주용도를 고려해 꼼꼼하게 선택해야 hot 디지털정보통신팀 2025.02.04 353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