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전동킥보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출처 위해예방팀
품목 자동차 및 관련용품
조회수 2679
게시일 2020.12.21
전동킥보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소비자안전주의보 발령
- 안전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보제공 및 감시 강화 -

 ■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조성욱)는 개정된 도로교통법이 시행되어 운전면허 없이 만 13세 이상 전동킥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소비자안전주의보를 발령하였다.
ㅇ 최근 3년 11개월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안전사고는 1,252건으로 운전미숙 및 과속으로 인한 사고가 804건(64.2%)이고, 고장 및 제품불량으로 인한 사고가 393건(31.4%)으로 나타났다.
 
■ 안전에 대한 우려로 도로교통법이 재개정되었으나 내년 4월 이후 시행됨에 따라 안전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보제공과 대여 및 판매업체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기로 하였다.
ㅇ 네이버, 11번가, 쿠팡 등 8개 통신판매중개업체에 이용가능 연령, 안전장비 착용 등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알릴 것을 요청하였다.
ㅇ 내년 4월부터 만 16세 미만 청소년과 운전면허 미소지자는 전동킥보드를 탈 수 없으므로 구매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1.안전사고 발생 현황 
? 최근 3년 11개월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전동킥보드 안전사고는 1,252건이었으며, 올해 11월까지 57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배 이상(135%) 급증했다.
*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병원, 소방서 등 81개 위해정보제출기관 및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ㅇ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와 30대의 비중(59.0%)이 높고, 10대의 비중도 12%에 달했다.
- 개정된 도로교통법 시행(12.10)으로 이용가능 연령이 만16세 이상에서 만13세 이상으로 낮아지고 운전면허도 폐지되어 안전사고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3년 11개월(’17~’20.11월)간 전동킥보드 사고 현황
2017년 195건, 2018년 229건, 2019년 257건, 2019년 11월까지 243건, 2020년 11월까지 571건으로 135% 증가 10세미만 34건, 10대 150건, 20대 436건, 30대 303건, 40대 192건, 50대 74건, 60세이상 12건

 
2.사고 원인 및 위해 유형 
<운행 사고>
□ 운행 중 사고가 804건(64.2%) 으로 운전미숙 및 과속에 의한 사고 외에 가드레일에 부딪히거나 과속방지턱·싱크홀 등에 걸려 넘어지는 사례가 있어 전용도로 확충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품결함에 의한 사고>
□ 고장 및 제품 불량으로 인한 사고가 393건(31.4%)으로 배터리·브레이크 불량, 핸들·지지대·바퀴의 분리 또는 파손 등의 원인이 대부분이다
ㅇ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을 구매하고, 주행 전 핸들 흔들림이나 브레이크 정상 작동 여부 등을 확인해야 한다.
ㅇ 배터리 불량은 화재 등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을 구매하고, 배터리가 부풀어 오르거나 타는 냄새가 나면 즉시 폐기하거나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
<위해 유형>
□ 머리 및 얼굴 부위를 다치는 경우가 454건(36.3%)으로 가장 많았고, 주요 증상으로는 열상과 골절이 대부분이다.
ㅇ 치명상을 예방하기 위해 보호장구(안전모 등)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3.이용자 안전대책 
□ 소비자원과 공정위는 4개월간 만 13-15세 청소년과 운전면허가 없는 소비자도 전동킥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안전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보제공과 대여 및 판매업체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기로 하였다.
* 도로교통법 개정에 따라 12.10부터 운전면허 없이 만 13세 이상 이용할 수 있게 되었으나, 안전에 대한 우려로 운전면허가 있는 만 16세 이상 이용하도록 재개정됨(공포일로부터 4개월 후 시행)
ㅇ 네이버, 11번가, 쿠팡 등 8개 통신판매중개업체 및 온라인쇼핑협회에 이용가능 연령, 안전장비 착용 등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알릴 것을 요청하여 신중한 구매를 하도록 하였다.
- 운전면허가 없거나 안전장비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 사고 발생위험이 크다는 사실과 내년 4월부터 만 16세 미만 청소년과 운전면허가 없는 소비자는 이용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릴 것을 요청하였다.
* 국토교통부·15개 공유업체 등으로 구성된 민관협의체는 대여연령을 만 18세 이상(운전면허를 소지한 만 16-17세 포함)에 한해 대여하기로 한 바 있음.
ㅇ 민관협의체에 참여한 15개 공유업체가 만 16세 미만 및 운전면허가 없는 만 16-17세 청소년에게 대여한 사실을 인지할 경우 국토부 등 관계기관에 통보할 계획이다.
- 협의체에 참여하지 않은 공유업체 및 판매업체가 만 13세 미만 어린이에게 대여 및 판매한 사실을 인지한 경우 경찰청 등에 통보할 예정이다.
 
□ 공정위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중요한 표시광고사항 고시’를 개정하여 이용자 준수사항(이용연령, 제한속도, 안전장비 착용 등) 및 사고 위험성 등의 표시를 전동킥보드 대여 및 판매업체에 의무화할 예정이다.
ㅇ 소비자원과 공정위는 전동킥보드 안전표시 개선, 품질비교 시험, 안전교육 프로그램 제작 등 안전한 이용문화 정착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4.이용자 주의사항
□ 도로교통법이 재개정되어 내년 4월부터 만 16세 미만 청소년과 운전면허 미보유자는 전동킥보드를 탈 수 없으므로 구매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 구매 시 안전 인증을 확인하고, 주행 전 이상 여부 확인, 안전모 착용, 음주운전·인도 주행·2인 이상 탑승·불법개조 금지 등 안전수칙을 준수하여 이용자와 보행자의 사고예방에 주의를 해야 한다.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예방팀 최윤선 팀 장 (043-880-5421)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예방팀 최재훈 과 장 (043-880-5422)
     
                                                      

 

파일 201218_전동킥보드 소비자안전주의보_보도자료.hwp201218_전동킥보드 소비자안전주의보_보도자료.hwp
201218_전동킥보드 소비자안전주의보_보도자료.pdf201218_전동킥보드 소비자안전주의보_보도자료.pdf


총 게시물 1373 페이지 7 / 138
게시물 검색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313 OECD, 리튬이온 배터리 안전 글로벌 캠페인 실시 hot 위해정보팀 2024.11.25 353
1312 해외직구 가전 및 아동용품 등에서 위해 사례 많아 제품 구매 시 각별한 주의 필요 hot 위해관리팀 2024.11.20 739
1311 폼클렌저, 자외선차단제 제거 성능 제품에 따라 차이 있어 hot 화학환경팀 2024.11.19 440
1310 난방용 이동식 부탄 연소기,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 hot 위해관리팀 2024.11.15 360
1309 캠핑바베큐용 소시지, 함께 먹는 식품 고려해 섭취량 조절 필요 hot 식품미생물팀 2024.11.14 363
1308 고령소비자 에스컬레이터 등 승강기 시설 낙상사고에 주의하세요! hot 위해예방팀 2024.11.13 311
1307 어린이 침대, 대부분 제품 품질·안전기준 충족하나 가격 차이 커 hot 기계금속팀 2024.11.07 362
1306 안전한 해외직구를 위한 대국민 캠페인 실시 hot 위해관리팀 2024.11.07 380
1305 식품모방완구 놀이 시 안전사고 유의하세요 hot 위해예방팀 2024.11.04 394
1304 아웃도어 워킹화, 발바닥 압력과 미끄럼 방지 등에 차이 있어 hot 섬유신소재팀 2024.11.04 345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