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약국·보건소 내 폐의약품 수거함 비치 및 수거안내문 게시 미흡해
출처 식의약안전팀
품목 의약(외)품 및 의료용품
조회수 1226
게시일 2020.12.11
약국⋅보건소 내 폐의약품 수거함 비치 및
수거안내문 게시 미흡해
-폐의약품 관련 표준 조례안 마련 및
수거 이행에 대한 평가⋅관리도 보완해야-

 가정에서 발생되는 폐의약품은 ‘생활계 유해폐기물*’로 분류돼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약국·보건소 등을 통해 수거한 후 소각 처리해야 한다.
* 생활폐기물 중에서 질병을 유발하거나 주변 환경에 피해를 줄 수 있는 것으로 폐농약, 폐형광등, 수은함유폐기물, 폐의약품 등이 해당됨.
폐의약품 수거·처리 등의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환경오염이나 약화사고 등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으며, 실제로 국내 지표수에서 의약품 성분이 검출된 사례가 있다.

지표수의 의약물질(25종) 오염여부를 조사한 결과, Acetaminophen(진통제), Ibuprofen(소염진통제), Diphenhydramine(항히스타민제), Clarithromycin(항생제), Metformin(당뇨치료제) 등 15종의 의약물질이 검출됨.(국립환경과학원, 2016)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서울·경기 내 12개* 기초자치단체(구·시)에 있는 약국 120개소 및 보건소 12개소의 폐의약품 수거실태를 조사한 결과, 폐의약품 수거함 비치·수거안내문 게시·폐의약품 처리 방법에 대한 복약지도 등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 '불용의약품의 관리에 관한 조례'를 제정한 기초자치단체와 제정하지 않은 기초자치단체 각 6곳씩 선정

□ 규격화된 폐의약품 수거함 및 수거안내문을 약국⋅보건소에 배포해야
「생활계 유해폐기물 관리지침」에서는 가정에서 폐의약품을 약국·보건소 등에 무상배출 할 수 있도록 하고, 약국·보건소 등은 수거장소에 안내문을 게시하고 폐의약품 수거함을 눈에 잘 띄고 접근이 용이한 곳에 비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약국 120개소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폐의약품을 수거하는 약국은 110개소(91.7%)로 비교적 많았으나, 수거함을 비치한 곳은 17개소(14.2%), 수거안내문 게시를 확인할 수 있는 곳은 6개소(5.0%)에 불과했다.
보건소의 경우에도 12개소 중 11개소(91.7%)에서 폐의약품을 수거했지만, 4개소(33.3%)만 수거함을 비치하고 있었고 수거안내문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은 1개소(8.3%)에 불과했다.
 
[ 약국 내 폐의약품 수거함 비치 및 수거안내문 부착 사례 ]
폐의약품 수거함 비치 사례 폐의약품 수거안내문 부착 사례
약국 내 눈에 잘 띄는 곳 약국 내 찾기 힘든 곳 출입문에 부착 수거함 주변에 부착
약국내 비교적 찾기쉬운곳 약국 외부 벽에 부착
폐의약품 수거함·수거안내문은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여 폐의약품 수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므로 보건복지부 및 지자체에서 이를 규격화한 후 약국·보건소에 제작·보급하는 등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폐의약품 관련 표준 조례안 마련 및 수거⋅처리 이행에 대한 평가⋅관리 보완필요
프랑스?미국?벨기에 등의 국가들은 폐의약품 처리에 관한 법령 및 기준을 마련하고 중앙정부에서 관리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2017년 지자체로 관리업무가 이관됐다. 따라서 지자체가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불용의약품 등의 관리에 관한 조례」의 제정이 선행되어야 하나, 현재 228개 지자체 중 83개(36.4%)만이 조례를 제정한 상태다.
이번 조사결과 조례가 제정되어 있는 지자체와 제정되어 있지 않은 지자체 간에 수거 참여 여부·수거함 설치·수거안내문 게시 등에 큰 차이가 없었는데, 이는 대다수 조례에 수거 주기나 운반·처리 주체가 명시되어 있지 않고 수거함 설치·수거안내문 게시·약사 복약지도 등에 관한 세부사항이 누락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준 조례안 마련 및 조례내용의 실질적 이행을 위한 평가·관리방안의 보완이 필요하다.

[ 폐의약품 관련 조례 제정 여부에 따른 약국 및 보건소 조사결과 비교 ]
(단위 : 개소)
< 약국 (120개소) > < 보건소 (12개소) >
  수거
여부
수거함 비치 안내문 게시 복약
지도
  수거
여부
수거함 비치 안내문 게시
조례 여부 조례 有 55/60 (91.7%) 10/60 (16.7%) 1/60 (1.7%) 0/60 (0%) 조례 여부 조례 有 6/6 (100%) 1/6 (16.7%) 1/6 (16.7%)
조례 無 55/60 (91.7%) 7/60 (11.7%) 5/60 (8.3%) 0/60 (0%) 조례 無 5/6 (83.3%) 3/6 (50.0%) 0/6 (0%)
종합 110/120 (91.7%) 17/120 (14.2%) 6/120 (5.0%) 0/60 (0%) 종합 11/12 (91.7%) 4/12 (33.3%) 1/12 (8.3%)


□  폐의약품 수거에 관한 교육 및 홍보 강화 필요
2018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미복용의약품을 ‘쓰레기통·하구수·변기에 처리(55.2%)’한 비율이 ‘약국·보건소에 반환(8.0%)’한 비율보다 훨씬 높게 나타나 폐의약품 처리에 관한 소비자 인식의 강화도 시급하다.
또한 이번 조사결과, 일반의약품 판매 시 약사가 폐의약품 처리방법에 대해 복약지도를 하는 약국이 없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이에 대한 개선방안 마련도 필요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소관부처(환경부·보건복지부) 및 각 지방자치단체에 ▲폐의약품 수거함·수거안내문 제작 및 배포·비치, ▲「불용의약품등의 관리에 관한 조례」표준안 마련 및 수거·처리 이행에 대한 평가·관리 보완, ▲폐의약품 수거 교육·홍보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가정 내에 보유하고 있는 폐의약품은 환경오염·약화사고 방지를 위해 가까운 약국·보건소를 통해 배출해 줄 것을 당부했다.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식의약안전팀 김제란 팀장 (043-880-5841)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식의약안전팀 신지황 대리 (043-880-5843)
                                                      

 

파일 201207_폐의약품 안전실태조사_보도자료.hwp201207_폐의약품 안전실태조사_보도자료.hwp
201207_폐의약품 안전실태조사_보도자료.pdf201207_폐의약품 안전실태조사_보도자료.pdf


총 게시물 1370 페이지 7 / 137
게시물 검색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310 난방용 이동식 부탄 연소기, 용도에 맞게 사용해야 hot 위해관리팀 2024.11.15 355
1309 캠핑바베큐용 소시지, 함께 먹는 식품 고려해 섭취량 조절 필요 hot 식품미생물팀 2024.11.14 357
1308 고령소비자 에스컬레이터 등 승강기 시설 낙상사고에 주의하세요! hot 위해예방팀 2024.11.13 300
1307 어린이 침대, 대부분 제품 품질·안전기준 충족하나 가격 차이 커 hot 기계금속팀 2024.11.07 357
1306 안전한 해외직구를 위한 대국민 캠페인 실시 hot 위해관리팀 2024.11.07 375
1305 식품모방완구 놀이 시 안전사고 유의하세요 hot 위해예방팀 2024.11.04 384
1304 아웃도어 워킹화, 발바닥 압력과 미끄럼 방지 등에 차이 있어 hot 섬유신소재팀 2024.11.04 339
1303 화장품 중소기업 제품 안전관리 역량 강화 세미나 개최 hot 위해예방팀 2024.10.30 443
1302 해외직구·구매대행 뇌 기능 개선 표방식품에서 의약품 성분 등 검출 hot 식의약안전팀 2024.10.30 397
1301 다목적 렌즈 세정액, 단백질 세척력 차이 있어 hot 화학환경팀 2024.10.24 420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