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한국소비자원, 제4기 소비자 안전모니터 해단식 개최
출처 위해정보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969
게시일 2020.11.27
한국소비자원, 제4기 소비자 안전모니터 해단식 개최
- 코로나19 관련 불법·위해제품 등에 대한
표시개선·판매차단 이끌어내 -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11월 26일(목) 충북혁신도시 본원에서 제4기 소비자안전모니터 해단식을 개최했다.
작년 7월 대국민 공모 등을 통해 선발된 100명의 안전모니터는 지난 1년 4개월 간 ▲생활 속 위해정보 신고, ▲안전조사과제 제안, ▲안전 캠페인 참여, ▲ 블로그·SNS를 활용한 안전정보 확산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했다.

해단식에는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활동 우수 모니터만 참석했으며, 나머지 모니터들은 온라인 회의 플랫폼을 통해 행사에 참여했다.
이 날 행사에서는 그 간의 안전모니터 활동 성과를 보고하고, 우수 모니터에 대한 시상과 활동 인증서 수여를 진행했다. 위해정보 신고 및 안전조사과제 제안 실적이 뛰어난 최우수(1명) 및 우수(2명) 모니터에게 각 100만원, 50만원의 상금과 한국소비자원장 표창이 수여됐으며, 일정 수준 이상의 활동 실적을 낸 모니터에게는 인증서와 연임 기회가 제공됐다.

제4기 안전모니터는 총 1,696건의 다양한 위해정보를 신고했으며, 한국소비자원은 이를 토대로 사실조사와 위해성 평가 등을 거쳐 자발적 리콜을 포함해 총 534건*의 사업자 시정조치를 이끌어냈다.
* 사업자에게 결함시정을 권고하여 제품 회수·환불 등 리콜, 안전기준 준수, 품질·시설·표시개선, 판매차단 등 조치 완료한 건수이며 나머지 건에 대해서는 조사 진행 중임.(2020.11.20. 기준)

안전모니터가 신고한 위해정보를 유형별로 분류하면 KC 인증표시 관련 신고가 507건(29.9%)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해외리콜 차단제품 재유통 신고 359건(21.2%), 코로나19 관련 불법·위해제품 신고 331건(19.5%) 등이 뒤를 이었다.

[제4기 소비자안전 모니터의 신고정보 유형]

신고 유형 건수(건) 비율(%)
KC 인증표시 관련 507 29.9
해외리콜 차단제품 재유통 359 21.2
코로나19 관련 불법·위해제품 331 19.5
온라인 불법유통식품 218 12.9
SNS 모니터링 167 9.8
기타 114 6.7
1,696 100.0

 
특히 올해는 코로나19 확산에 편승해 코로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표방하는 불법·위해제품을 집중적으로 찾아내 소비자 피해를 예방함으로써 소비자안전 확보 및 시장질서 안정에 크게 기여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의약외품 허가를 받지 않았음에도 ‘KF, KF-AD 대용·대체·동급·유사’ 등을 표시하여 판매되는 다수의 공산품 마스크를 신고해 표시개선 및 판매차단을 이끌어냈다.

한국소비자원 이희숙 원장은 “생활 속 위해요인을 찾아 없애고, 안전문화를 확산하는 데 소비자 안전모니터의 활동이 기여한 바가 크다”고 평가하며, “평소 소비자안전에 관심 있는 소비자들이 실질적인 개선 성과를 경험할 수 있는 안전모니터에 많이 참여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정보팀 최난주 팀장 (043-880-5811)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정보팀 이지섭 대리 (043-880-5814)
                                                      

 

파일 201127_제4기 소비자안전 모니터 해단식 개최_보도자료.hwp201127_제4기 소비자안전 모니터 해단식 개최_보도자료.hwp
201127_제4기 소비자안전 모니터 해단식 개최_보도자료.pdf201127_제4기 소비자안전 모니터 해단식 개최_보도자료.pdf


총 게시물 1373 페이지 6 / 138
게시물 검색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323 한국소비자원, ‘제14회 어린이 안전대상’ 특별상 수상 hot 위해예방팀 2024.12.26 250
1322 [무선헤드폰 품질비교] 음향·소음 제거·통화 품질 등에 차이 있어 hot 전기전자팀 2024.12.26 323
1321 한국소비자원, 질병관리청과 업무협약 체결 위해정보팀 2024.12.26 222
1320 [펫드라이룸 품질비교] 건조성능·소음 등에 차이 있어 꼼꼼히 확인하고 선택해야 hot 기계금속팀 2024.12.26 407
1319 에탄올 화로 사용 시 화재에 주의하세요 hot 위해관리팀 2024.12.16 330
1318 노후 아파트 내 어린이놀이터, 안전관리 미흡한 곳 많아 hot 생활안전팀 2024.12.05 292
1317 생분해 플라스틱 제품 대부분이 인증 내용과 다른 광고 하고 있어 hot 제품안전팀 2024.12.03 555
1316 가연성 가스가 충전된 '어린이용 버블클렌저' 사용 시 주의 hot 식의약안전팀 2024.11.29 412
1315 문신용염료 대다수 제품에서 니켈 등 유해물질 검출 hot 제품안전팀 2024.11.28 377
1314 전기차, 계기판 표시와 실제 주행가능거리 간 차이 있어 hot 전기전자팀 2024.11.26 317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