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어린이, 고령자의 가정 내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출처 위해예방팀
품목 가구 및 가구설비
조회수 1889
게시일 2020.03.12
어린이, 고령자의 가정 내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2019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결과-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행정안전부(장관 진영)가 2019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위해정보 총 73,007건을 분석한 결과, 가정(주택) 내에서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확산으로 가정 내 생활이 많아지면서 안전사고도 예년보다 증가할 가능성이 높아 사고 예방을 위한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한국소비자원이「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63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81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가정 내에서 발생한 안전사고 최근 3년간 지속적으로 증가
최근 3년(’17년~’19년)간 접수된 위해정보 중 가정(주택)에서 발생한 안전사고가 가장 많았으며, 2017년 33,806건(47.6%), 2018년 38,141건(53.0%), 2019년 40,525건(55.5%)으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최근 3년간 상위 5개 위해장소별 현황 ]

(단위 : 건, %)

순위 2017 2018 2019
1 주택 33,806(47.6) 주택 38,141(53.0) 주택 40,525(55.5)
2 도로 및 인도 6,549(9.2) 도로 및 인도 13,870(19.3) 도로 및 인도 5,007(6.9)
3 숙박 및
음식점
5,093(7.2) 숙박 및
음식점
5,963(8.3) 숙박 및
음식점
4,813(6.6)
4 여가,문화 및
놀이시설
2,110(3.0) 여가,문화 및
놀이시설
5,012(7.0) 여가,문화 및
놀이시설
2,160(3.0)
5 기타상업시설 1,806(2.5) 기타상업시설 2,019(2.8) 기타상업시설 1,820(2.5)
□ 가정 내 안전사고 중 ‘10세 미만’ 어린이 사고가 매년 40% 이상 차지
가정 내에서 발생한 안전사고 중 연령대 확인이 가능한 사례를 분석한 결과, ‘10세 미만’이 2017년 16,687건(50.2%), 2018년 15,518건(42.9%), 2019년 15,838건(40.9%)으로 매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다음으로 ‘60세 이상’이 매년 10% 이상으로 뒤를 이었다.

 

[ 최근 3년간 연령대별 가정 내 위해사례 현황 ]

(단위 : 건, %)

구분 2017 2018 2019
10세 미만 16,687(50.2) 15,518(42.9) 15,838(40.9)
10대 1,701(5.1) 1,489(4.1) 1,617(4.2)
20대 2,308(6.9) 2,319(6.4) 2,450(6.3)
30대 3,049(9.2) 4,240(11.7) 4,627(11.9)
40대 2,589(7.8) 3,864(10.7) 4,894(12.6)
50대 2,454(7.4) 3,644(10.1) 4,222(10.9)
60대이상 4,426(13.4) 5,138(14.2) 5,117(13.2)
총계 33,214(100.0) 36,212(100.0) 38,765(100.0)
□ 가정에서 어린이는 추락사고, 고령자는 미끄러짐 사고에 주의 필요
2019년 발생한 ‘10세 미만’ 어린이의 가정 내 안전사고 15,838건의 주요 위해원인으로는 ‘추락’이 3,905건(24.7%)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미끄러져 넘어짐’(3,286건, 20.7%), ‘부딪힘’(3,251건, 20.5%), ‘눌리거나 끼임’(1,230건, 7.8%) 등의 순이었다.
`10세 미만' 어린이의 경우 영아기(0세), 걸음마기(1~3세), 유아기(4~6), 학령기(7~10세 미만) 등 발달단계에 따라 사고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 연령별로 보호자의 적절한 사고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
 
[ 발달단계별 10세 미만 어린이 주요 위해 사례 ]
발달단계 주요 위해 사례
취학 전 영아기(0세) (9개월, 여) 유아용 침대(1m)에서 추락하여 안와골절* 발생
걸음마기(1~3세) (만3세, 남) 주방에서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식탁 모서리에 다침
유아기(4~6세) (만4세, 여) 화장실 세면대에 왼쪽 아랫니 부딪힘
학령기(7~10세 미만) (만9세, 남) 거실에서 미끄러져 넘어지면서 뒤통수 다침
* 안와 골절: 외력에 의해서 안구를 둘러싸고 있는 뼈에 골절이 생긴 상태

2019년에 발생한 `60세 이상' 고령자의 가정 내 안전사고 5,117건의 위해원인으로는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가 2,415건(47.2%)으로 가장 많았고, 위해발생장소로는 화장실/욕실에서 발생하는 사고의 비율이 19.6%(1,003건)로 다른 연령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 이에 대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화장실/욕실 안전사고 순위 : (10세 미만~50대) 4위, (60세 이상) 2위 
[ 60세 이상 고령자 주요 위해 사례 ]
사례 1 (만64세, 남) 화장실 바닥이 미끄러워 뒤로 넘어지며 허리뼈가 골절됨
사례 2 (만67세, 여) 화장실에서 넘어지면서 우측 손목 변형과 통증으로 치료 받음
  □ 가정 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위해요소 점검 필요
어린이, 고령자 등 안전취약계층의 가정 내 사고 예방을 위해 ▲생활 반경 내에 설치된 가구나 가전제품 등의 위해요소를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침대 낙상 방지 보조 난간 및 모서리 부딪힘 방지용품 설치, 욕실 바닥 미끄럼 방지 스티커 부착 등 각 가정에 적합한 예방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한국소비자원과 행정안전부는 “사회적 배려계층의 안전을 위해 지자체,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안전사고 예방가이드를 제작하고 전국에 배포하는 등 다양한 위해저감 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소비자들에게는 위해가 발생했거나 발생 우려가 있는 경우 위해정보신고 핫라인(☎080-900-3500)이나 모바일앱 또는 한국소비자원 CISS 홈페이지(www.ciss.go.kr)를 통해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 자세한 내용은 한국소비자원 CISS 누리집 내 ‘위해정보동향’ - ‘소비자위해동향’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예방팀 최윤선 팀 장 (043-880-5421)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예방팀 김영주 조사관 (043-880-5427)
 
  • - 행정안전부 예방안전과 지만석 과 장 (044-205-4510)
    - 행정안전부 예방안전과 오영남 주무관 (044-205-4521)

 

파일 200311_2019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결과_보도자료.hwp200311_2019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결과_보도자료.hwp
200311_2019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결과_보도자료.pdf200311_2019년 소비자 위해동향 분석 결과_보도자료.pdf


총 게시물 1373 페이지 11 / 138
게시물 검색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273 품질 비교정보, 소비자의 제품 구매·선택에 미치는 영향력 높아 hot 시험기획팀 2024.07.04 501
1272 시카고피자, 일반 피자에 비해 치즈 많지만 포화지방은 높은 편 hot 식품미생물팀 2024.06.27 788
1271 건전지, 제품별로 지속시간 차이 있어 hot 전기전자팀 2024.06.25 667
1270 가정용 스탠드 에어컨, 냉방성능·소음 등 제품 간 성능 차이 있어 hot 기계금속팀 2024.06.20 576
1269 중소기업 어린이제품 사업자를 위한 역량강화 세미나 개최 hot 위해예방팀 2024.06.20 483
1268 해외직구 안전모 및 물놀이 기구 대다수가 안전기준 미달 hot 안전감시국 2024.06.14 876
1267 해외구매대행 프로폴리스 구입 시 소비자 주의 필요 hot 식의약안전팀 2024.06.11 847
1266 영유아 어린이 안전사고, 보호자의 관심으로 예방할 수 있어 hot 위해예방팀 2024.05.30 651
1265 한국쓰리엠(3M) 방음용 귀덮개, 자발적 리콜 실시 hot 위해관리팀 2024.05.21 833
1264 소비자의 제품 선택 기준, '가격'이 가장 중요 hot 시험기획팀 2024.04.24 694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