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카카오톡 콘텐츠 등록하기
해외안전정보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2025년 10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출처 위해정보팀
품목 품목없음
조회수 24
게시일 2025.10.20
파일
해외  2025.10.1. ~ 10.15.해외안전정보 동향

※ 해당 기관 클릭 시 원문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해외안전정보 동향(251001-251015) 상세내용 - 해당기관, 주요내용 정보제공
해당기관 주요내용
미국
식품의약국
(FDA)
■ 무허가 웨어러블 기기 혈압 측정 오진 위험성 경고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소비자 및 의료진에게 혈압을 측정 또는 추정한다고 광고하는 무허가 웨어러블 기기 사용을 경고함. 시중 유통 중인 혈압 측정 기능을 가진 기기 상당수가 FDA의 공식 허가를 받지 않은 제품으로 나타남. 부정확한 혈압 측정은 고혈압 또는 저혈압 오진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뇌졸중, 심근경색, 심부전 등 심각한 질병의 치료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음. FDA는 스마트 워치 등 웨어러블 기기 안의 혈압 측정 기능 또는 기타 무허가 혈압 측정 제품을 대상으로 행정 조치를 취하고 있음.
매사추세츠주
소방청

■ 매사추세츠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안전 주간 선포

미국 매사추세츠주는 10월 5일~11일까지‘충전으로 지키는 화재안전 : 우리 가정 속 리튬이온 배터리’를 주제로 화재 예방 주간을 선포함. 힐리 주지사는 올해의 주제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안전한 사용, 충전, 폐기를 강조하는 것이라고 밝힘. 손상되거나 결함이 있는 배터리는 폭발 위험이 있고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는 불꽃, 고온, 독성 및 인화성 가스를 방출할 위험이 있음. 매사추세츠 주의 화재예방 주간 캠페인은 배터리 구매, 충전, 재활용 시 안전수칙을 홍보하여 화재와 폭발 사고를 예방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음. 주 소방청은 화재 및 폭발 사고를 추적하기 위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NERIS)*을 2023년에 새로이 도입함. 기존 시스템에 따르면 매년 약 20건의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가 보고 되었으나, 새 시스템 도입 이후 2024년 한해에만 주 내에서 약 135건의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 사고가 보고됨.

프랑스
(DGCCRF)

■ 글로벌 전자상거래 플랫폼 위해제품 소비자 주의 당부

프랑스 경쟁소비부정행위방지총국(DGCCRF)은 9월 한달 동안 글로벌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판매된 총 12종*의 위해제품을 차단함. 이들 제품은 Shein, Temu, AliExpress, Cdiscount, Ebay, Amazon 등의 주요 글로벌 플랫폼에서 판매되고 있었으며, 풍선, 완구, 전자기기(전기밥솥, 연장 콘센트, 전원 어댑터 등), 화장품(젤네일 매니큐어, 타투 잉크 등)등 이었음. 이들 위해제품은 감전, 화상, 화학적 위험 등을 초래할 가능성으로 판매 차단됨. DGCCRF는 소비자들에게 동일 또는 유사 제품이 다른 플랫폼에서 여전히 판매될 수 있다며 구매를 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함. 만약 유사 제품을 발견할 시, 프랑스 국내 신고 사이트 SignalConso또는 EU의 Safety Gate로 신고해줄 것을 요청함.

호주
경쟁소비자위

■ 테슬라 가정용 리튬이온 배터리(Powerwall2) 과열로 리콜

호주 경쟁소비자위원회(ACCC)는 테슬라의 가정용 배터리 Powerwall 2를 과열 위험으로 리콜함. 동 제품은 충전식 리튬이온 배터리로 가정용 또는 소규모 상업용으로 쓰이는 에너지 저장 장치임. 테슬라는 일부 Powerwall 2에 사용된 제3자 공급업체의 리튬이온 배터리 셀의 고장 및 과열 가능성을 확인함. 결함있는 배터리 셀이 포함된 완제품에서 연기 또는 불꽃이 발생해 경미한 재산 피해가 발생하여 테슬라는 결함 제품들을 원격으로 방전(discharge)시킴. 조치 결과 현재 배터리가 과열될 위험은 낮지만, 만약 과열 등 문제가 발생하면 불꽃, 화재 등 사고로 이어져, 부상, 사망 또는 재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음. 소비자는 테슬라 앱에서 본인이 구매한 제품이 결함 제품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하고, 무상 교환을 받을 수 있음. 또한 Powerwall 2 결함으로 인해 소비자가 입은 에너지 절감 손실 부분에 대해서 테슬라가 개별적 보상을 검토할 예정임.

일본
소비자청
(CAA)

■ 웨어러블·휴대 제품 리튬이온 배터리 안전 사고 주의

일본 소비자청은 스마트워치, 무선 이어폰 등 웨어러블 전자 제품과 휴대용 선풍기 등 몸에 가까이 지니는 전자 제품의 리튬이온 배터리 안전 사고 관련 소비자 주의 환기를 실시함. 리튬이온 배터리 전자 제품을 일반 쓰레기와 함께 버리는 경우, 쓰레기 수거 차량이나 폐기물 처리 시설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기도 함. 일본 소비자청이 운영하는‘사고정보 데이터뱅크’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무선이어폰, 스마트워치, 휴대용 선풍기 3개 품목에서 발생한 사고*는 총 162건 접수되었음. * 연기 발생, 발열, 발화, 파열, 폭발 이 중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사고는 136건(84%)였음. - 무선 이어폰 : 64건(47%) - 스마트 워치 : 46건(34%) - 휴대용 선풍기 : 26건(19) 소비자들은‘?사용 중 무선 이어폰이 폭발해 목에 화상, ?스마트 워치를 착용하고 수면 중 새벽에 발화하여 팔에 화상 및 침구류 손상, ?충전된 휴대용 선풍기를 가방에 넣고 다니다 발화’등의 사고 사례를 제보함.



총 게시물 1136 페이지 1 / 114
게시물 검색
해외안전정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136 2025년 10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10.20 25
1135 2025년 9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10.01 59
1134 2025년 9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9.12 98
1133 2025년 8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9.02 116
1132 2025년 8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위해정보팀 2025.09.02 114
1131 2025년 7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7.10 244
1130 2025년 6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6.27 218
1129 2025년 6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6.13 233
1128 2025년 5월 4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6.11 213
1127 2025년 5월 2째주 해외 안전정보 동향 hot 위해정보팀 2025.06.10 206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