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욕실용 필터샤워기 일부 제품, 잔류염소 제거성능 미흡해
출처 식의약안전팀
품목 주방용품 및 생활용품
조회수 3104
게시일 2021.11.30
욕실용 필터샤워기 일부 제품, 잔류염소 제거성능 미흡해
- KC인증 대상에 포함하고 필터의 성능기준도 마련해야 -
 욕실에서 사용하는 수돗물의 위생관리를 위해 필터샤워기를 구매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잔류염소 제거 효과를 강조하고 있는 일부 제품은 실제 성능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온라인 쇼핑몰에서 유통⋅판매되는 욕실용 필터샤워기 20개 제품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 20개 중 7개 제품은 잔류염소 제거성능이 미흡해
조사대상 욕실용 필터샤워기 20개 전 제품은 온라인 판매페이지 내에 잔류 염소 제거효과를 강조하고, 일부 제품은 ‘100% 제거’ 문구를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 사용 환경*을 반영하여 잔류염소 제거성능을 시험검사**한 결과, 7개 제품(35.0%)은 잔류염소 제거율이 80.0% 미만으로 성능이 미흡했다.
* 수돗물을 원수로 하여 검체(욕실용 필터샤워기)에 샤워기 전용 호스를 연결하고 수압은 1kgf/cm2[수도용품 환경표지(절수) 인증을 위한 공급수압 기준과 동일]로 적용
** ‘정수기 기준·규격 및 검사기관 지정고시’ 중 정수성능검사 방법을 준용(4P 표 참고)
 
[ 욕실용 필터샤워기 잔류염소 제거 광고 예시 ]
묶음 개체입니다. 묶음 개체입니다.
묶음 개체입니다. 묶음 개체입니다.
[ 조사대상 욕실용 필터샤워기 중 잔류염소 제거성능 미흡 제품(7개) ]
시료번호 제품명(옵션명) 제조사(수입사) 판매사 원수 농도
(mg/L)
통과수 농도
(mg/L)
제거율
(%)
7 [물쎈]맥반석 3중필터 수압상승 샤워기 - ㈜네이쳐리빙 0.19 0.15 21.1
9 토소웅 음이온 비타클리닉 샤워 ㈜보티 ㈜만통 0.19 0.16 15.8
12 정수샤워기 영스타 0.18 0.16 11.1
17 녹물제거 필터샤워기 Shenzhen Lanbo Household Items Co.,Ltd 한남제약㈜ 0.21 0.09 57.1
18 퓨링 필터샤워기 화랑 0.21 0.16 23.8
19 3중 필터샤워기 1P - 슈네이처* 0.19 0.18 5.3
20 UH정수샤워기(1단) 엘에이치상사 UH홈데코스토어 0.19 0.18 5.3
※ 제조사(수입사) 및 판매사는 제품에 표기된 업체명을 기준으로 작성함.
* 제품에 제조⋅판매사가 표기되어 있지 않아 온라인 쇼핑몰(G9) 내 판매사명 ‘슈네이처(주식회사 네이처코퍼레이션)’ 기입
잔류염소 제거율이 미흡한 7개 중 6개 제품*은 ‘잔류염소 제거’ 성능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자료(시험 성적서 등) 없이 판매되고 있었고, 1개 제품**은 시험성적서를 보유했으나 성능이 미흡한 것으로 확인돼 개선이 필요했다.
* 시료번호 7, 12, 17, 18, 19, 20
** 시료번호 9, 잔류염소 제거율 100% 시험성적서 보유
※ 한국소비자원은 잔류염소 제거성능이 미흡한 7개 제품 판매사*에 온라인 판매페이지 내 표시⋅광고 수정(문구 삭제)을 권고했고 해당 사업자들은 이를 개선하기로 회신함.
* 시료번호 9 제품은 온라인 판매사인 ‘(주)토소웅’에 표시⋅광고 개선을 권고함.
□ KC인증 대상에 포함하고 필터의 성능기준도 마련해야
수돗물과 접촉하는 수도꼭지 등 수도용 자재나 제품은 위생안전기준*(「수도법 시행령」별표1의2)에 따라 KC인증을 반드시 취득해야 하나 욕실용 필터샤워기는 수도용 제품임에도 인증대상에서 제외되어 있다.
* 수도시설(취수·저수·도수 시설 제외) 중 물에 접촉하는 수도용 자재나 제품을 제조 또는 수입하기 위해서는 위생안전기준 인증을 받아야 함(「수도법」제14조 제1항). 수도용 자재나 제품에서 용출될 수 있는 중금속, 휘발성유기화합물 등의 유해물질에 대한 안전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제품의 재질에 따라 기준(항목)이 다르게 적용됨.
또한, 위생안전기준에는 수도용 제품 자체의 ‘유해물질 용출’ 기준만 규정되어 있고 필터를 사용하는 제품의 성능기준은 없어 관련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사업자에게 제품의 표시⋅광고에 대한 개선을 권고했고, 환경부에는 ▲욕실용 필터샤워기의 KC인증 의무화, ▲필터를 사용하는 수도용 제품에 대한 성능기준 신설 등을 요청할 예정이다.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식의약안전팀 김제란 팀   장 (043-880-5841)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식의약안전팀 김남현 조사관 (043-880-5846)
                                                      

 

파일 211129_욕실용 필터샤워기 안전실태_보도자료.hwp211129_욕실용 필터샤워기 안전실태_보도자료.hwp


총 게시물 1363 페이지 1 / 137
게시물 검색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363 [다이어트 건강기능식품 품질비교 결과] 체중 감소 기능성분 함량 기준은 충족하나 중복섭취 주의 필요 새글 식품미생물팀 2025.05.21 32
1362 아기띠 사용 시 추락사고에 주의하세요! 위해예방팀 2025.05.19 43
1361 포토프린트 케이크에서 사용 불가 색소 검출 식의약안전팀 2025.05.07 218
1360 휴대용 보조배터리, 안전하게 사용해요! 위해예방팀 2025.04.17 172
1359 (주)초콜릿코스메틱 자외선차단제 2개 제품, 환불 실시 식의약안전팀 2025.04.16 197
1358 일부 반려동물 영양제, 표시된 양보다 기능성 원료가 적게 들어 있어 hot 식의약안전팀, 표시광고팀 2025.04.16 1042
1357 한국소비자원, 「BMS 정보제공 강화를 위한 협의회」 개최 위해관리팀 2025.04.11 159
1356 가스레인지 삼발이 커버, 사용에 주의해야 위해관리팀 2025.04.11 123
1355 고령운전자, 돌발상황 시 비고령운전자에 비해 반응속도 떨어져 생활안전팀 2025.04.10 104
1354 전동카트 대여서비스에 대한 안전관리 방안 마련 필요 생활안전팀 2025.04.08 178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