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전체메뉴

SNS 공유하기 트위터에 콘텐츠 등록하기 페이스북에 콘텐츠 등록하기
보도자료 게시물 상세보기
제목 편리한 전기모기채,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출처 위해예방팀
품목 주방용품 및 생활용품
조회수 1405
게시일 2019.08.09
편리한 전자모기채, 안전하게 사용하세요!

□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과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장마가 끝나고 모기 개체수가 많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전기모기채 관련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최근 3년(‘16~’18)간 전기모기채로 인한 안전사고는 19건이 접수되었다.
  ○ 월별로 살펴보면, 모기가 출현하는 7월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장마가 끝나고 모기 개체 수가 가장 많아지는 8월에
      사고도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최근 3년(‘16~‘18)간 전기모기채 안전사고 현황 ]

[출처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스템(CISS)]


□ 피해유형은 열상(타박상, 찰과상 등)이 7건(37%)으로 가장 많았으며, 감전 6건(32%), 화재·폭발이 4건(21%), 기타가 2건(10%)이었다.

 ▶ 2016년 7월 19일 11개월 남아가 제품을 갖고 놀다가 손에 열상
 ▶ 2017년 8월 2일 제품 충전 중 폭발사고 발생
 ▶ 2018년 8월 16일 사용 중 제품에 닿으면서 감전사고 발생         


[ 최근 3년(‘16~‘18)간 피해유형별 전기모기채 안전사고 현황 ]

[출처 :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스템(CISS)]
 

  ○ 구체적인 사고경위를 살펴보면, 열상피해는 영·유아나 어린이가 제품을 갖고 놀다가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전기모기채를 사용하는 가정에서는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 감전사고는 전류망에 접촉하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여름에는 습기가 많고 더위로 땀을 흘리면서 몸에
     전기가 흐르기 쉬운 상태가 되는 만큼 전류망에 신체가 닿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 또한 화재·폭발사고는 제품을 충전하는 도중 불티가 발생하면서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안전한 제품을 규격에 맞게 사용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 이와 관련하여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은 “전기모기채 사용이 증가하면서 인증받지 않은 제품이 소비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라며, “국가통합인증표시, 안전인증번호 등을 꼼꼼히 살펴보고 구매하여 피해를 입는 일이 없도록 해야한다.”라고 말했다.

  ○ 국가통합인증표시(KC마크), 전자파적합등록번호, 배터리의 안전인증번호*는 제품이나 포장지에서 확인이 가능
      하다.
      * 배터리(리튬전지) 탈착이 가능한 제품은 배터리 표면에서 안전인증번호 확인이 가능하다.

□ 전기모기채를 안전하게 사용하려면 안전한 제품을 구매하는 것 외에도 다음과 같은 수칙을 숙지하고 준수하여야 한다.

  ○ 인화성 물질인 액화석유가스(LPG)가 포함된 살충제와 전기모기채를 동시에 사용하면 방전 과정에서 가스에
      불이 붙어 화재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 특히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살충제를 사용하면 가스가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집 안에 남아있게 되므로
       전기모기채를 사용하기 전에 창문을 열어 환기해야한다.*
       * ‘19.6.19. 살충제를 뿌리고 전기모기채를 사용하다 화재 발생 (60세 부상)

 
○ 제품의 손잡이나 안전망, 전류망에 손상이 있는 지 여부를 확인하고, 조금이라도 손상되었다면 사용하지 않는다.

    - 또한 안전망이나 전류망 사이에 낀 이물질은 누전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사용 전에 이물질 유무도 확인해야
      한다.

 
○ 전류망에 손이 닿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고, 사용 직후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도 전류가 흐를 수 있으므로 전류망을
    만지지 않는다.

    - 손이 작은 아이들은 안전망 사이로 손가락이 빠져 감전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하며,
       되도록 아이들 눈에 띄지 않는 곳에 보관한다.

○ 큰 살충효과를 위해 안전망을 뜯어내거나 건전지(배터리)를 개조하여 전압을 높이는 경우가 있는데, 감전사고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조심한다.

□ 서철모 행정안전부 예방안전정책관은 “최근 전기모기채에 대한 안전기준이 강화되면서 살충력이 약해졌다고 여기는 소비자들이 있다.”라며, “살충효과를 높이기 위해 임의로 전기출력을 높이는 등의 개조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감전사고로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만큼 자제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예방팀 팀       장  최윤선(☎ 043-880-5421)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예방팀 조  사  관  이수미(☎ 043-880-5425)

 

파일 편리한 전기모기채_ 안전하게 사용하세요!.hwp편리한 전기모기채_ 안전하게 사용하세요!.hwp
편리한 전기모기채_ 안전하게 사용하세요!.pdf편리한 전기모기채_ 안전하게 사용하세요!.pdf


총 게시물 1268 페이지 1 / 127
게시물 검색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268 해외직구 안전모 및 물놀이 기구 대다수가 안전기준 미달 새글 안전감시국 2024.06.14 31
1267 해외구매대행 프로폴리스 구입 시 소비자 주의 필요 식의약안전팀 2024.06.11 209
1266 영유아 어린이 안전사고, 보호자의 관심으로 예방할 수 있어 위해예방팀 2024.05.30 77
1265 한국쓰리엠(3M) 방음용 귀덮개, 자발적 리콜 실시 위해관리팀 2024.05.21 90
1264 소비자의 제품 선택 기준, '가격'이 가장 중요 시험기획팀 2024.04.24 144
1263 화상 우려 엠에스알(MSR) 캠핑용 냄비, 자발적 리콜 실시 위해관리팀 2024.04.19 123
1262 한국소비자원, 위해정보 민간 활용을 위한 공공데이터 개방 위해정보팀 2024.04.19 117
1261 구독형 도시락에서 병원성 세균 검출, 소비자 주의 필요 식의약안전팀 2024.04.16 146
1260 봄 나들이 때 유모차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위해예방팀 2024.04.04 115
1259 일부 합성수지제품에서 잔류성오염물질인 단쇄염화파라핀 검출 제품안전팀 2024.04.02 116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