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스포츠 및 취미용품 해외안전정보 상세보기
제목 [미국] 장난감 검사에서 유해 화학성분 다량 검출
품목 스포츠 및 취미용품
출처 Consumeraffairs
조회수 6017
작성일 2009.02.06
파일

[미국] 장난감 검사에서 유해 화학성분 다량 검출

비영리 단체인 환경 센터가 2년 연속으로 장난감에 성장장애, 학습장애, 생식장애, 암을 유발할 수 있는 납, 비소, 기타 유해 화학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1,500개 이상의 유명 장난감들 중 1/3이 화학성분 수치가 “중간” 또는 “높음”으로 나타나 아동들에게 위협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이번 검사에서 대상 장난감 중 20%가 납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는 납 함유량이 600ppm을 초과하는 제품이 54개(3.5%)나 되어 문제가 되었다.(미국 소아과 학회가 권장하는 아동용 제품에서 납의 최대 허용량은 40ppm이다.)

 

그 외에도 장난감의 상당후가 카드뮴, 수은, 비소, 브롬 등 다른 화학물질이나 PVC(비닐)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아동용 쥬얼리의 경우 다른 제품에 비해 납 함유 가능성이 두 배에 달하여, 센터 관계자는 저렴한 아동용 쥬얼리를 구매하지 말 것을 권장하였다. 장남감 제조국과 독성 화학물질 존재 여부와의 연관성은 이번 검사에서 입증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러한 원치 않은 결과에도 불구하고, 일부 소비자에 대한 긍정적인 소식도 있다. 시험 대상 장난감 중 62%(954)가 낮은 수준의 화학 물질 함유량을 보였으며 21%(324)의 장난감은 화학 물질의 우려가 없었다.

 

센터 관계자는 "화학 물질의 우려가 없는 제품도 다른 아동 제품들과 모양과 느낌이 전혀 다르지 않다.“며 ”이러한 결과는 제조업체가 불필요한 독성 화학 물질이 없는 장난감 만들 수 있고 또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는 “아동 장난감에 유해 화학 물질이 존재해서는 안 된다. 우리의 희망은 이러한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제조업체가 유해 물질을 즉각적으로 제거하고 아동을 유해 화학 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입법자가 법률을 개정하도록 압력을 행사하는 것이다.” 라고 덧붙였다. 이번 장난감 시험 결과는 환경 센터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정보출처 : Consumeraffairs, 2008.12

▶ 정보제공 : 한국소비자원 정책연구본부, 정고운

 



총 게시물 21 페이지 1 / 3
게시물 검색
스포츠 및 취미용품 해외안전정보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21 연말연시 쇼핑 시즌을 맞아 3개국 합동 장난감 규제 조치 시행 hot CPSC 2014.11.26 5382
20 헤어 스프레이와 향수로 인한 가정의 실내 공기 오염과 어린이 폐 질환의 관련성 hot Cosmeticsdesign.com 2014.11.26 6168
19 초강력 자석 세트에 관한 연방 안전 표준 승인 hot CPSC 2014.09.30 6017
18 [미국] 트램펄린 안전 hot CPSC 2013.10.16 7065
17 [뉴질랜드] 자석 장난감 경고 hot consumer affairs 2013.10.01 7065
16 [미국] 장난감 구매시 안전을 우선으로 고려해야 hot Consumer Reports 2013.02.13 7202
15 [독일] 아디다스, 화학제품 사용 줄이기로 밝혀 hot Bild 2011.09.28 6346
14 [베트남] 새로운 안전모 규정 발표 hot nld 2009.02.25 5505
13 [미국] 장난감 검사에서 유해 화학성분 다량 검출 hot Consumeraffairs 2009.02.06 6018
12 [중국] 41개 완구기업의 CCC인증서 취소 hot 중국인증감독위원회 2008.04.28 5111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