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야외활동 많은 가을철, 자전거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 |||||||||||||||||||||||||||||||||||||||
---|---|---|---|---|---|---|---|---|---|---|---|---|---|---|---|---|---|---|---|---|---|---|---|---|---|---|---|---|---|---|---|---|---|---|---|---|---|---|---|---|
품목 | 스포츠 및 취미용품 | |||||||||||||||||||||||||||||||||||||||
출처 | 위해예방팀 | |||||||||||||||||||||||||||||||||||||||
조회수 | 404 | |||||||||||||||||||||||||||||||||||||||
작성일 | 2021.10.26 | |||||||||||||||||||||||||||||||||||||||
파일 |
![]() |
|||||||||||||||||||||||||||||||||||||||
“야외활동 많은 가을철, 자전거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 코로나19 확산 이후 자전거 안전사고 전년 대비 54.3% 증가 - ㅇ 코로나19 장기화로 대중교통, 실내 다중이용시설 등 밀집도가 높은 장소를 피하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용이한 야외활동을 선호함에 따라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ㅇ 최근 3년간(2018년~2020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는 자전거 관련 안전사고가 총 5,555건 접수됐으며 매년 증가 추세다. 특히 코로나19가 확산된 2020년에는 2019년에 비해 안전사고가 54.3% 급증했다. ※ 안전사고 건수 : (’18년)1,222건 → (’19년)1,704건 → (’20년)2,629건 ㅇ 자전거 안전사고는 어린이, 노약자 등 안전취약계층 뿐만 아니라 전 연령대에서 고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계절별로는 가을철(9~11월)에 가장 많이 발생해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소비자원과 공정위는 소비자들에게 자전거와 관련된 사고 사례 및 유형, 주의사항을 잘 숙지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주의를 당부했다. 1. 안전사고 발생 현황 □ 최근 3년간(2018년∼2020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자전거 관련 안전사고는 총 5,555건으로 매년 증가 추세이며, 특히 2020년에는 2019년 대비 안전사고가 54.3% 급증했다. ※ 안전사고건수 : (’18년)1,222건 → (’19년)1,704건 → (’20년)2,629건 * 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8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6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평가하는 시스템 [ 연도별 안전사고 발생건수 현황 ]
ㅇ 자전거 안전사고 계절별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가을(9~11월)’이 1,869건(33.6%)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여름(6~8월)’ 1,787건(32.2%), ‘봄(3~5월)’ 1,037건(18.7%), ‘겨울(12~2월)’ 862건(15.5%) 순으로 나타났다. [ 계절별 발생 현황 ]
(단위 : 건, %)
2. 세부 안전사고 발생 현황 가. 연령대 및 위해증상 □ (연령대) ‘10대’와 ‘10세 미만’에서 각각 1,188건(21.4%), 1,131건(20.4%)이 접수돼 안전사고가 가장 많았으며 ‘20대‘~‘60대 이상‘ 연령대에서도 발생빈도가 고르게 나타났다. ㅇ 성별로는 ‘남성’ 4,172건(75.1%), ‘여성’ 1,346건(24.2%)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안전사고 건수가 3배 이상 많았다.
ㅇ 연령이 높아질수록 ‘골절’ 비율이 증가해 ‘40대’ 이상 연령대에서는 ‘골절’이 ’열상’보다 많았다. [ 연령대별 위해증상 ]
(단위 : %)
![]() □ (위해원인) ‘물리적 충격’이 5,229건(94.1%)으로 대다수였으며, ‘제품 관련’이 301건(5.4%) 접수됐다. ㅇ ‘물리적 충격’의 세부 위해원인으로는 ‘미끄러짐·넘어짐’이 4,630건(88.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눌림·끼임’ 312건(6.0%), ‘부딪힘’ 164건(3.1%) 등이었다. ㅇ ‘제품 관련’ 세부 위해원인으로는 ‘기능고장’(71건, 23.6%)과 ‘파열·파손·꺾여짐’(71건, 23.6%)이 가장 많았고, 이어 ‘부품탈락’(57건, 18.9%), ‘예리함·마감처리 불량’(34건, 11.3%) 등이 뒤를 이었다.
□ (세부 위해원인에 따른 위해부위) ‘미끄러짐·넘어짐’ 사고로 다친 부위는 ‘머리 및 얼굴’이 2,165건(46.8%)으로 가장 많았고, ‘눌림·끼임’은 ‘둔부, 다리 및 발’(262건, 84.0%), ‘부딪힘’은 ‘머리 및 얼굴’(88건, 53.7%)을 가장 많이 다쳤다. ㅇ 특히 ‘눌림·끼임’ 사고 중 상당수가 자전거 부품에 발이 끼인 사고였으며, ‘뒷바퀴’(121건), ‘앞바퀴’(109건), ‘체인’(52건), ‘페달’(19건) 순으로 끼임사고가 많았다. - 뒷바퀴 끼임사고는 대부분 보호자가 자전거 뒤에 자녀를 태우고 운행하다가 발생했으며, 주로 2~6세 영유아가 다친 사례였다. - 앞바퀴 끼임사고는 운전자의 발이 끼인 사고가 다수였으며, 우산ㆍ가방끈이 바퀴나 체인에 끼어 운전자가 넘어져 다친 사례도 있었다. - 주요 사례로는 뒷바퀴에 발이 끼어 골절된 사례, 체인을 만지다 손가락이 끼어 끝부분이 절단된 사례, 어린이가 자전거를 타다가 페달에 다리가 끼어 119구조대의 도움으로 프레임 절단 후 다리를 빼낸 사례 등이 있었다. <주요 위해사례>
3. 당부사항 □ 소비자원과 공정위는 야외활동이 활발한 가을철을 맞아 자전거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자전거 운전자들에게 ▲ 바퀴나 체인에 끼이지 않도록 끈 없는 신발, 통이 넓지 않은 하의를 입고, 안전모ㆍ보호대 등 안전장비를 착용할 것 ▲ 주행 전 브레이크가 잘 작동되는지 살펴보고, 안장을 좌우로 움직여 조임상태를 체크하는 등 고장·파손 여부를 확인할 것 ▲ 자전거 뒤에 영유아를 태울 경우 반드시 발판이 있는 유아 전용 안장을 설치ㆍ이용할 것 ▲ 자전거 주행 중 휴대폰을 보거나 이어폰을 사용하지 말 것 ▲ 주위의 자동차나 자전거와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고 안전속도를 지킬 것 등을 당부했다. □ 아울러 소비자원과 공정위는 서울, 대전, 창원, 세종시 등과 협력하여 소비자24(www.consumer.go.kr) 이벤트* 등 다양한 홍보를 통해 자전거 위해정보 현황과 주의사항을 확산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할 계획이다. * 안전모, 기프티콘 등을 경품으로 지급하는 자전거 안전하게 타기 퀴즈(10.18.∼10.31.) <붙임> 1. 자전거 안전사고 위해정보 분석 결과 2. 주요 소비자 위해사례 3.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소비자 주의사항 4. 이벤트 포스터
|
번호 | 제목 | 출처 | 게시일 | 조회수 |
---|---|---|---|---|
116 | 알톤스포츠 니모 FD 전기자전거, 즉시 수리 받아야 | 위해예방팀 | 2023.09.21 | 36 |
115 | 어린이용 킥보드, 제품별로 내구성에 차이 있어 | 기계금속팀 | 2023.05.02 | 228 |
114 | 공유 전기자전거 이용자 99% 안전모 미착용, 공용 안전모 제공 필요 | 생활안전팀 | 2023.03.09 | 150 |
113 | 일부 스키용 안전모, 충격흡수성·내관통성 안전기준 부적합 | 제품안전팀 | 2023.01.18 | 143 |
112 | 일부 낚시도구에서 기준을 초과하는 납 검출 | 기계금속팀 | 2022.12.27 | 205 |
111 | 하강레포츠시설 안전확보를 위한 관리 강화해야 | 생활안전팀 | 2022.11.17 | 208 |
110 |
골프카트 및 골프장 내 카트 도로 안전관리 강화해야
![]() |
생활안전팀 | 2022.04.21 | 330 |
109 |
워킹머신, 제품별로 운동량 표시 정확성·소음 등에 차이 있어
![]() |
기계금속팀 | 2022.02.21 | 526 |
108 |
난방텐트, 보온성 우수하고 난방 에너지 절감 효과 있어
![]() |
섬유신소재팀 | 2022.01.12 | 981 |
107 |
등산화의 기능성과 내구성, 제품에 따라 차이 있어
![]() |
섬유고분자팀 | 2021.10.26 | 503 |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