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스포츠 및 취미용품 보도자료 상세보기
제목 전동킥보드, 제품별로 주행거리, 주행성능 등에서 차이 있어
품목 스포츠 및 취미용품
출처 기계금속팀
조회수 1157
작성일 2021.10.26
파일 hwp 파일211008_전동킥보드 품질 비교_보도자료.hwp
전동킥보드, 제품별로 주행거리, 주행성능 등에서 차이 있어
- 내구성 및 배터리 안전성은 모든 제품 이상 없어 -
  
‘전동킥보드’에 관한 가격·품질 비교정보는 ‘소비자24(www.consumer.go.kr)’ 내 ‘비교공감’란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될 예정임.
최근 친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근거리 이동 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동킥보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으나, 제품 간 품질 차이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는 부족하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은 소비자에게 객관적인 상품선택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전동킥보드 6개 업체의 6개 제품*을 대상으로 주행거리, 주행성능, 충전시간, 내구성, 배터리 안전성 등을 시험·평가했다.
* 나노휠(NQ-AIR 500), 롤리고고(LGO-E350lite), 모토벨로(M13), 미니모터스(스피드웨이 미니4 프로), 세그웨이-나인봇(E45K), 유로휠(EURO 8 TS600 ECO) (가나다순)
시험 결과, 내구성 및 배터리 안전성은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으나 주행거리, 주행성능(속도유지 성능, 등판 성능), 충전시간 등에서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다.
* 안전확인대상 생활용품의 안전기준 부속서 72(전동보드)(국가기술표준원)

? 주행거리, 충전에 필요한 전력량 및 시간에서 제품별로 차이 있어
(세부내용, 8페이지)
ㅇ (주행거리 및 충전 전력량) 완충한 상태에서의 주행거리*는 21.1 km ~ 42.4 km로 제품 간 약 2배의 차이가 있었다. 충전에 필요한 전력량(Wh)은 제품별로 351 Wh ~ 616 Wh로 차이가 있었으며, 충전 전력량이 가장 많은 유로휠(EURO 8 TS600 ECO) 제품의 주행거리가 42.4 km로 가장 길었다.
* 약 75 kg의 사용자가 최고속도 단계로 동일한 장소에서 연속 주행하는 조건에서 측정한 거리임.
ㅇ (충전시간) 방전된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은 제품별로 5.6시간 ~ 7.2시간이었고, 충전 전력량과 충전시간이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았다.
배터리
전압
배터리
전압/전류량
(표시)
브랜드명 모델명 주행거리주1) 배터리 충전주2)
필요
전력량
충전시간
36 V
이하
36 V / 10.4 Ah 나노휠 NQ-AIR 500  21.1km 387 Wh 6.7 시간
36 V / 10.0 Ah 롤리고고 LGO-E350lite  28.0km  394 Wh 5.6 시간
36 V / 13.0 Ah 모토벨로 M13   38.6km 505 Wh 7.2 시간
36 V / 10.2 Ah 세그웨이-나인봇 E45K   27.2km 351 Wh 6.8 시간
36 V
초과
48 V / 13.0 Ah 미니모터스 스피드웨이 미니4 프로   40.4km 605 Wh 6.4 시간
52 V / 10.4 Ah 유로휠 EURO 8
TS600 ECO
  42.4km 616 Wh 6.5 시간
주1) 1회 완충 후 약 75kg의 사용자가 최고속도 단계로 연속 주행하여 정지할 때까지 주행한 거리임. 주행거리는 사용자 체중, 온도, 바람, 도로상태, 주행속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주2) 방전 상태(최고속도 단계로 주행 중 전동킥보드가 스스로 멈춘 시점의 배터리 상태)에서 제공된 충전기로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필요한 시간 및 전력량임.

? 속도유지 성능 및 등판 성능, 2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해
(세부내용, 9~10페이지)
ㅇ (속도유지 성능) 주행초반의 최고속도가 주행종반까지 유지되는 정도를 평가한 결과, 2개 제품*은 100 % 수준을 유지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했고, 나머지 4개 제품은 주행종반에서 최고속도가 80 % 수준을 유지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됐다.
* 세그웨이-나인봇(E45K), 미니모터스(스피드웨이 미니4 프로)
ㅇ (등판 성능) 등판 성능이 부족할 경우 오르막 주행 중 정지하게 되고, 전동 킥보드를 끌고 가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전압이 상대적으로 높은 2개 제품*이 주행종반까지 10도의 경사로를 20 m 이상 등판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등판 성능이 ‘우수’했다.
* 미니모터스(스피드웨이 미니4 프로), 유로휠(EURO 8 TS600 ECO)의 배터리 표시 전압은 각각 48 V, 52 V이며, 나머지 4개 제품은 36 V임.

? 내구성과 배터리 안전성, 모든 제품이 안전기준에 적합해
(세부내용, 10~11페이지)
ㅇ (내구성) 방수 시험, 하중(핸들, 접는 장치, 바퀴 등) 시험, 고온(70℃), 저온(-40℃), 상온·다습환경(25℃, 93% R.H) 노출 시험 등에서 모든 제품이 이상이 없었다.
ㅇ (배터리 안전성) 배터리의 저전압보호, 단락, 충돌, 충격 및 진동 등에 의한 발화, 폭발 등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 모든 제품이 안전기준에 적합했다.
? 구조 안전성, 1개 제품이 안전기준에 부적합해 (세부내용, 11페이지)
ㅇ (겉모양·구조) 제품의 제동장치, 날카로운 부위, 내부배선 등 주요 장치들의 구조 및 작동상태 등을 확인한 결과, 롤리고고(LGO-E350lite) 제품의 브레이크 레버 간격이 안전기준(100 mm 이하)을 초과했다.
※ 해당 업체(㈜다음네트웍스)는 재고 및 유통제품에 대한 구조개선을 실시하고, 소비자에게 판매된 제품에 대해서는 소비자 요청 시 무상수리 등의 조치를 실시할 계획임을 밝힘.

? 무게, 보유기능 등은 제품별로 차이 있어 (세부내용, 12~13페이지)
ㅇ (제품특성) 제품별로 무게는 최소 14 kg에서 최대 18 kg이었으며, 도난방지, 정속주행, 서스펜션(충격완충장치), 애플리케이션(APP) 연동 등 주행·사용편의 관련 보유기능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 전동킥보드, 새로운 교통수단으로의 정착을 위해서는 안전사고 예방 노력이 필요해
(세부내용, 13~14페이지)
ㅇ 경제성·환경성*을 갖춘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수단을 근거리 교통수단으로 정착시키기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 정책이 확대**됨에 따라 관련 제품의 사용도 증가하고 있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이를 이용하는 소비자도 안전한 운전습관을 갖는 노력이 필요하다.
* 에너지소비효율(연비)을 이용해 에너지비용과 CO2 배출량을 환산하는 경우(100 km 주행기준), 시험대상 6개 제품의 평균 에너지비용은 약 232원, CO2 배출량은 약 0.616 kg으로 내연기관 이륜차(6,661원, 9.60 kg) 보다 경제적이고 CO2 배출량도 적었음.
** 저탄소·그린 환승시설 구현을 위한 개인형 이동수단 시장 확대 등 환승시설의 모빌리티 허브 기능 강화(「제3차 환승센터 및 복합환승센터 구축 기본계획(’21∼’25)」, 국토교통부)
ㅇ 전동킥보드는 구조적으로 바퀴가 작고 무게중심이 높아 주행 중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크므로 보호 장구 착용, 노면 장애물 확인, 저속운전 등을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 최근 3년간(’18~’20)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전동킥보드 관련 안전사고 총 1,289건 중 ‘운행 사고’가 942건(73%)으로 가장 많았음.
[ 장애물 안정성 확인(예시 1) ]
장애물 통과 비교
묶음 개체입니다.
<전동킥보드>
묶음 개체입니다.
<자전거>
? 전동킥보드는 자전거에 비해 바퀴가 상대적으로 작아 노면의 배수로 틈새 등의 장애물에 바퀴가 걸려 전도될 가능성이 높음.
[ 장애물 안정성 확인(예시 2) ]
전복 특성 관찰
묶음 개체입니다.
? 고속 주행 중 노면의 낮은 턱 등의 장애물에 걸리게 되면 몸의 중심이 앞으로 쏠리면서 추락, 충돌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음.
앞으로도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를 지원하기 위해 개인형 이동수단 제품에 대한 안전성 및 품질비교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붙임>
1. 전동킥보드 품질 시험·평가 결과
2. 전동킥보드 종합평가표
3. 전동킥보드 운행관련 제도 및 주의사항
4. 전동킥보드 충전 및 관리 방법
 
  • 보충취재시험검사국 기계금속팀 서정남 팀   장 (043-880-5911)
  • 보충취재시험검사국 기계금속팀 임상욱 책임연구원 (043-880-5913)
                                                      

 



총 게시물 128 페이지 1 / 13
게시물 검색
스포츠 및 취미용품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28 [배드민턴화 품질비교 결과] 미끄러지지 않는 정도 등 기능 특성은 제품 간 차이 있어 섬유신소재팀 2025.07.03 44
127 봄철 캠핑, 화상과 일산화탄소 중독 주의하세요 위해예방팀 2025.03.18 233
126 일부 캠핑용 가스누설경보기 성능 미흡해 제품안전팀 2025.03.07 266
125 [무선헤드폰 품질비교] 음향·소음 제거·통화 품질 등에 차이 있어 hot 전기전자팀 2024.12.26 319
124 아웃도어 워킹화, 발바닥 압력과 미끄럼 방지 등에 차이 있어 hot 섬유신소재팀 2024.11.04 345
123 폼롤러, 경도 차이 있어 자신에게 맞는 제품 선택해야 hot 화학환경팀 2024.10.22 390
122 전기자전거·전동킥보드 화재에 주의하세요 hot 위해예방팀 2024.09.25 486
121 스포츠 브라, 지지력과 착용감을 고려해 선택해야 hot 섬유신소재팀 2024.09.05 622
120 습식 스포츠 타월, 새 상품은 물에 헹군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해 hot 섬유신소재팀 2024.02.23 722
119 매년 증가하는 스키·스노보드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hot 위해예방팀 2024.01.24 835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