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스포츠 및 취미용품 보도자료 상세보기
제목 화물차의 후부안전판, 판스프링 불법 설치에 대한 단속 강화 필요
품목 스포츠 및 취미용품
출처 생활안전팀
조회수 1299
작성일 2021.02.17
파일 hwp 파일210215_고속도로 주행 위해요소 안전실태_보도자료.hwp
pdf 파일210215_고속도로 주행 위해요소 안전실태_보도자료.pdf
화물차의 후부안전판·판스프링 불법 설치에 대한 단속 강화 필요

우리나라 교통사고 사망자 중 화물차 관련 사고로 사망하는 비율(25.0%)*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다.
* ’16년 20.5%(4,292명 중 878명) → ’19년 25.0%(3,349명 중 835명)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 통계, 2020년)
특히 고속도로 주행 중에 화물차의 후미를 추돌하는 사고는 사망비율(41.9%)*이 높고, 화물차 적재함에 불법으로 부착된 ‘판스프링’은 주행 중에 빈번하게 떨어져 후방에서 운행 중인 차량에 위험요인이 되고 있다.
* 화물차 ‘후부 안전기준 위반’ 본격 단속(행정안전부 보도자료, 2019. 4. 30.)
 

⋅후부 안전판 : 후미 추돌 시 차고가 높은 화물차의 적재함이 승용차의 일부를 밀고 들어가 상해를 가중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장비
⋅판스프링 : 바퀴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차체 밑에 부착하는 부품이나, 화물차 적재함에서 짐이 쏟아지는 것을 막기 위해 보조 지지대로 불법 개조해 사용
 
<후부 안전판 및 판스프링 설치 형태>
후부 안전판 판스프링 불법 설치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1.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48pixel, 세로 126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2.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38pixel, 세로 125pixel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보험개발원(원장 강호)과 함께 고속도로에서 운행 중인 화물차 100대를 대상으로 ‘후부 안전판’, ‘판스프링’의 불법 설치 여부 및 충돌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감독기관의 단속 강화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 일부 화물차는 후부 안전판을 기준보다 높게 설치해 심각한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어
조사대상 화물차 100대 중 33대는 후부 안전판을 최저 570mm에서 최고 750mm로 높여 설치해 해당 기준*(550mm 이내)을 위반했다.
*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국토교통부)
이에 기준보다 높은 위치(750mm)에 후부 안전판을 설치한 후 차량충돌시험을 실시한 결과, 후방에서 추돌한 승용차량의 차체 일부가 화물차 하부로 들어가는 언더라이드* 현상이 발생해 심각한 안전사고를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화물차와 추돌사고 시 차체가 낮은 승용차의 일부가 화물차 적재함 아래로 들어가는 현상
<차량충돌 시험 결과>
(단위:ms=1/1,000초)
충돌 전(0ms) 충돌 후(50ms) 충돌 후(157ms)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3.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4pixel, 세로 130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4.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4pixel, 세로 130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5.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04pixel, 세로 130pixel
※ 시험조건 : 약 750mm 높이에 설치된 후부안전판에 승용차를 고속주행속도(56km/h)로 추돌
한편 100대 중 29대는 후부 안전판이 훼손되거나 부식이 심해 충돌 시 부러지거나 휘어져서 후방 차량을 보호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았고, 27대는 후부 안전판에 부착하는 반사지가 노후돼 교체가 필요했다.
? 일부 화물차, 적재함에 고정 장치없이 판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어
조사대상 화물차 100대 중 13대는 차체 하부에 부착해야 하는 판스프링을 화물칸이 벌어지지 않도록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 적재함 보조 지지대로 사용했다. 판스프링이 주행 중 날아가거나 도로에 떨어져 후방 주행 차량을 가격하면 대형사고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단속 강화가 필요했다.
<판스프링 사고 사례>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6.pn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95pixel, 세로 142pixel

※ 사진 출처 : kcc오토그룹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국토교통부에 ▲화물차 후부 안전판 등 후방 안전장비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 ▲화물차 판스프링의 적재함 불법 사용에 대한 단속 강화를 요청할 계획이다.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생활안전팀 심성보 팀   장 (043-880-5831)
  • 보충취재분쟁조정사무국 분쟁조정총괄팀 안동훈 조정관 (043-880-5556)
                                                      

 



총 게시물 128 페이지 1 / 13
게시물 검색
스포츠 및 취미용품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28 [배드민턴화 품질비교 결과] 미끄러지지 않는 정도 등 기능 특성은 제품 간 차이 있어 섬유신소재팀 2025.07.03 44
127 봄철 캠핑, 화상과 일산화탄소 중독 주의하세요 위해예방팀 2025.03.18 233
126 일부 캠핑용 가스누설경보기 성능 미흡해 제품안전팀 2025.03.07 266
125 [무선헤드폰 품질비교] 음향·소음 제거·통화 품질 등에 차이 있어 hot 전기전자팀 2024.12.26 319
124 아웃도어 워킹화, 발바닥 압력과 미끄럼 방지 등에 차이 있어 hot 섬유신소재팀 2024.11.04 345
123 폼롤러, 경도 차이 있어 자신에게 맞는 제품 선택해야 hot 화학환경팀 2024.10.22 390
122 전기자전거·전동킥보드 화재에 주의하세요 hot 위해예방팀 2024.09.25 486
121 스포츠 브라, 지지력과 착용감을 고려해 선택해야 hot 섬유신소재팀 2024.09.05 622
120 습식 스포츠 타월, 새 상품은 물에 헹군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해 hot 섬유신소재팀 2024.02.23 722
119 매년 증가하는 스키·스노보드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hot 위해예방팀 2024.01.24 835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