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주방용품 및 생활용품 보도자료 상세보기
제목 온 가족이 이용하는 화장실, 세면대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품목 주방용품 및 생활용품
출처 위해예방팀
조회수 1312
작성일 2021.12.09
파일 hwp 파일211207_세면대 안전사고 주의보_보도자료.hwp
“온 가족이 이용하는 화장실, 세면대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 무너진 세면대 파편에 피부 찢어지고 베이는 사고 많아 -

 
■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 이하 소비자원)과 공정거래위원회(위원장 조성욱, 이하 공정위)는 가정 등의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세면대 관련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안전주의보를 발령했다.
ㅇ 최근 3년간(2018년~2020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세면대 관련 안전사고는 총 693건으로 매년 200건 이상 발생하고 있다.
※ 안전사고 접수건수 : (’18년) 249건 → (’19년) 212건 → (’20년) 232건
ㅇ 가정에는 도기 재질의 반다리형ㆍ긴다리형 등 여러 형태의 세면대가 설치돼 있는데, 이용 부주의나 설치 하자 등으로 세면대가 무너지거나 소비자가 세면대에 부딪쳐 다치는 등 안전사고가 꾸준히 접수되고 있다.
ㅇ 성인의 경우 세면대에 몸을 기대거나 걸터앉다가 세면대가 파손돼 다친 사고가 많았다. 반면 어린이는 세면대에 얼굴을 부딪치거나 세면대에서 추락한 안전사고가 많아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소비자원과 공정위는 소비자들에게 세면대와 관련된 위해사례 및 유형, 주의사항을 잘 숙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주의를 당부했다.
 
1. 안전사고 발생 현황
□ 최근 3년간(2018년∼2020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세면대 관련 안전사고는 총 693건으로 매년 200건 이상 발생하고 있다.
※ 안전사고 접수건수 : (’18년) 249건 → (’19년) 212건 → (’20년) 232건
* CISS(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 소비자기본법에 따라 전국 58개 병원, 18개 소방서 등 76개 위해정보제출기관과 1372소비자상담센터 등을 통해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분석, 평가하는 시스템
 
[ 연도별 안전사고 발생건수 현황 ]
(단위 : 건, %)
 
구분 2018 2019 2020 총합계
건수 249 212 232 693
증감률 - △14.9 9.4 -
□ (연령대) ‘10세 미만’의 안전사고가 254건(36.7%)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20대’ 122건(17.6%), ‘10대’ 109건(15.7%), ‘30대’ 68건(9.8%) 등의 순이었다.
ㅇ 특히 안전사고가 많은 어린이(0~14세)를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미취학 아동(0~6세)의 경우 88.9%(208건 중 185건)가 세면대에 신체를 부딪히거나 세면대에서 추락한 사고였다.
- 반면 취학 아동(7~14세)은 세면대가 깨지면서 피부가 베이거나 찢어지는 ‘파열·파손·꺾여짐’, ‘예리함·마감처리 불량’ 등의 위해사례가 70.0% (110건 중 77건)를 차지했다.
□ (성별) ‘남성’ 442건(63.8%), ‘여성’ 251건(36.2%)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안전사고가 약 1.8배 더 많았다.
[ 연령대별 현황 ] [ 성별 현황 ]
(단위 : 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세면대 연령대별 캡쳐 3.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61pixel, 세로 445pixel
(단위 : 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성별 현황 2.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39pixel, 세로 321pixel

2. 세부 안전사고 발생 현황
가. 항목별 위해현황
□ (위해원인) 세면대의 ‘파열·파손·꺾여짐’이 378건(54.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소비자가 세면대에 ‘부딪힘’이 242건(34.9%), 영유아 등이 세면대에서 떨어진 ‘추락’ 47건(6.8%), ‘예리함·마감처리 불량’ 14건(2.0%) 등의 순이었다.
ㅇ ‘파열·파손·꺾여짐’ 사고는 세면대가 무너져 소비자가 다친 사례, 소비자가 세면대에 기대거나 걸터앉거나 발을 닦는 등 하중을 가하는 행동을 하던 중 세면대가 파손된 사례가 많았다.
ㅇ ‘부딪힘’ 사고의 57.9%(140건)는 영유아에게 발생했으며, 화장실에서 씻거나 양치질하거나, 앉았다가 일어나면서 세면대에 이마ㆍ입술ㆍ턱 등 얼굴을 부딪친 사례가 많았다.
ㅇ ‘추락’ 사고는 대부분 0~5세에게 발생했으며, 특히 0세의 안전사고가 31.9%(15건)에 달했다. 보호자가 세면대에서 영아를 씻길 때 부주의하여 떨어진 것으로 분석돼 각별한 주의가 필요했다.
□ (위해증상) ‘피부 및 피하조직 손상’이 579건(83.5%)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뇌진탕 및 타박상’ 74건(10.7%), ‘근육, 뼈 및 인대 손상’ 28건(4.0%), 등의 순이었다.
ㅇ ‘피부 및 피하조직 손상’의 세부내용으로는 피부가 찢어지는 ‘열상(찢어짐)’이 538건(92.9%)으로 대다수였으며, 이어 ‘절상(베임)’(12건, 2.1%), ‘찰과상’(12건, 2.1%) 등의 순이었다.
ㅇ ‘뇌진탕 및 타박상’은 ‘타박상’이 55건(74.3%)으로 가장 많았으며, ‘뇌진탕’이 19건(25.7%) 접수됐다.
ㅇ 이외 세면대가 떨어져 발가락이 골절되거나, 세면대가 깨지면서 날카로운 파편에 소비자가 신경 절단이나 전신 부상을 입는 등 위해정도가 심각한 위해사례도 접수됐다.
□ (위해부위) ‘머리 및 얼굴’이 268건(38.7%)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둔부, 다리 및 발’ 228건(32.9%), ‘팔 및 손’ 166건(24.0%) 등의 순이었다.
[위해원인 현황] [ 위해증상 현황 ]
(단위 : 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위해원인(소) 현황.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69pixel, 세로 465pixel
* 예리함·마감처리 불량, 고온물질 등
(단위 : 건, %)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위해증상 현황 수정한거.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25pixel, 세로 571pixel
* 화상, 기타 손상 등

나. 위해원인에 따른 위해부위 및 주요 위해사례
□ (위해원인에 따른 위해부위) 세면대의 ‘파열·파손·꺾여짐’으로 다친 부위는 ‘둔부, 다리 및 발’(215건, 56.9%)이 가장 많았고, 이어 ‘팔 및 손(139건, 36.8%)이 뒤를 이었다. ‘부딪힘’은 ‘머리 및 얼굴’(220건, 90.9%)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ㅇ ‘추락’사고로 다친 부위는 ‘머리 및 얼굴’이 41건(87.2%)으로 대다수였으며, 이어 ‘둔부, 다리 및 발’ 3건 (6.4%), ‘몸통’ 2건(4.3%) 순이었다.
 
[ 위해원인별 주요 위해부위 현황 ]
(단위 : 건)
구분 머리 및 얼굴 둔부, 다리 및 발 팔 및 손
파열·파손·
꺾여짐
6 215 139
부딪힘 220 4 11
추락 41 3 1

<주요 위해사례>
파열·파손·
꺾여짐
(만 19세, 여) 2020년 6월 화장실에서 세면대에 몸을 기대어 있던 중 세면대가 무너져 양손과 팔, 엉덩이에 열상을 입어 병원 진료를 받음.
부딪힘 (만 10세, 남) 2019년 8월 초등학교 화장실에서 세면대에 머리를 부딪혀 뇌진탕 발생 및 구토로 병원 진료를 받음.
추락 (만 0세, 남) 2020년 12월 보호자가 화장실 세면대에서 11개월 된 아이를 씻기다가 약 1m 높이에서 아이가 추락해 부종, 찰과상, 구토로 병원 진료를 받음.
예리함·
마감처리 불량
(만 27세, 여) 2019년 6월 화장실 세면대에 발을 올려 닦던 중 날카로운 부분에 발이 긁혀 열상으로 병원 진료를 받음.

3. 당부사항
□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세면대의 다리는 배수구 등을 가리는 커버 또는 받침대 역할을 하는데, 세면대에 몸을 기대거나 걸터앉는 등 지속적으로 하중을 가하면 깨지거나 무너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 소비자원과 공정위는 세면대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소비자들에게,
▲ 세면대에서 어린아이를 씻기는 행위는 추락사고 우려가 있어 자제할 것
▲ 영유아 등이 화장실을 이용할 때 세면대에 부딪치거나 다치지 않는지 살펴보고, 화장실에서 장난치지 않도록 교육할 것
▲ 세면대에 체중을 실어 몸을 기대거나 걸터앉지 말고, 발을 얹어 씻는 행위를 자제할 것
▲ 화장실의 전구를 갈거나 높은 위치에 있는 물건을 꺼낼 때는 세면대를 밟고 올라서지 말고 의자나 사다리를 사용할 것
▲ 세면대에 균열이 생긴 경우 업체의 점검을 받을 것 등을 당부했다.
 
<붙임> 1. 세면대 안전사고 위해정보 분석 결과
2. 주요 소비자 위해사례
3. 세면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소비자 주의사항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예방팀 정은선 팀   장 (043-880-5421)
  • 보충취재위해정보국 위해예방팀 남원우 조사관 (043-880-5425)
                                                      

 



총 게시물 134 페이지 1 / 14
게시물 검색
주방용품 및 생활용품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34 일부 자외선차단제, 기능성 광고 개선 필요 식의약안전팀 2025.06.26 163
133 국내 제조 미용 접착제 3종 환불 실시 위해관리팀 2025.06.13 153
132 (주)초콜릿코스메틱 자외선차단제 2개 제품, 환불 실시 식의약안전팀 2025.04.16 292
131 가스레인지 삼발이 커버, 사용에 주의해야 위해관리팀 2025.04.11 211
130 맥주효모ㆍ비오틴 식품, 모발 건강 효과와 무관 hot 식의약안전팀 2025.04.01 685
129 닌자 프로페셔널 초퍼 블렌더, 자발적 용기 제공 실시 위해관리팀 2025.03.14 226
128 [양모솜 이불 품질비교 결과] 봄·가을용 양모솜 이불, 사용 계절에 적합한 수준의 보온성 갖춰 섬유신소재팀 2025.03.14 194
127 설 연휴 고향 방문 시, 화재 위험 노후 김치냉장고 꼭 점검하세요! hot 위해예방팀 2025.01.24 384
126 [가정용 음식물(쓰레기)처리기 품질비교] 감량성능은 유사한 수준이나, 필터 탈취성능은 9개 중 5개 제품 우수해 hot 기계모빌리티팀 2025.01.23 309
125 가연성 가스가 충전된 '어린이용 버블클렌저' 사용 시 주의 hot 식의약안전팀 2024.11.29 398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