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 전체메뉴

주방용품 및 생활용품 보도자료 상세보기
제목 주방용 다목적 세정제의 세척성능 및 경제성, 제품별로 차이 있어
품목 주방용품 및 생활용품
출처 화학환경팀
조회수 397
작성일 2021.11.08
파일 211102_주방용 다목적 세정제 품질 비교_보도자료.hwp211102_주방용 다목적 세정제 품질 비교_보도자료.hwp
주방용 다목적 세정제의 세척성능 및 경제성, 제품별로 차이 있어
- 안전성, 표시 내용 이상 없으나 환경성은 제품 간 차이 -
‘주방용 다목적 세정제’에 관한 가격·품질 비교정보는 ‘소비자24(www.consumer.go.kr)’ 내 ‘비교공감’란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될 예정임.
코로나19로 가정 내에서 식사하는 횟수가 늘면서 가스레인지, 후드, 타일 등에 오염된 음식물과 기름때 등을 제거할 때 사용하는 주방용 다목적 세정제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품질 정보는 부족하다.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은 소비자에게 객관적인 상품 품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분무형 주방용 다목적 세정제 7개 제품*을 대상으로 품질, 안전성, 환경성, 경제성 등을 시험?평가했다.

* 랩신 홈백신 주방용 세정제(애경산업㈜), 무균무때 주방용(㈜피죤), 베이킹소다세정제(㈜디에이치산업), 브레프 파워 주방용(헨켈홈케어코리아(유)), 슈가버블 기름때세정제(㈜슈가버블), 유한락스 주방청소용(㈜유한양행), 홈스타 주방용 세정제(㈜엘지생활건강)

시험 평가 결과, 유해물질 등 안전성과 표시 적합성은 모든 제품이 기준에 적합했고, ‘무첨가’ 물질과 살균?항균 효과 등을 표시한 제품도 모두 이상이 없었다. 그러나 세척성능과 경제성, 환경성(용기 재활용 등급, 재생 플라스틱 사용 등)에서는 제품 간 차이가 있었고, 모든 제품이 사용 중 분무액이 눈에 들어갈 경우 자극을 유발할 수 있어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세척성능, 경제성은 제품 간 차이 있어(세부내용 6, 9페이지)
주방의 가스레인지, 후드, 타일 등에 오염된 음식물과 기름때 등을 제거하는 세척성능을 시험·평가한 결과, 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복합 오염’에 대해서 1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고, 조리 시 발생하는 ‘기름 오염’에 대해서는 2개 제품**이 상대적으로 ‘우수’했다.
* 브레프 파워 주방용(헨켈홈케어코리아(유))
** 무균무때 주방용(㈜피죤), 슈가버블 기름때세정제(㈜슈가버블)
 
제품 100 mL당 가격은 333*원 ~ 1,180**원으로 경제성에서는 최대 3.5배 차이가 있었다.
* 베이킹소다세정제(㈜디에이치산업) / ** 브레프 파워 주방용(헨켈홈케어코리아(유))

□ 용기 재활용 등급 등 환경성은 제품별로 차이 있어(세부내용 7페이지)
용기 재활용 등급을 확인한 결과, 4개 제품*의 용기 재활용 등급이 ‘우수’했고, 1개 제품**이 재생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등 자원 순환 측면에서의 환경성은 제품 간 차이가 있었다.
* 랩신 홈백신 주방용 세정제(애경산업㈜), 무균무때 주방용(㈜피죤), 슈가버블 기름때세정제(㈜슈가버블), 유한락스 주방청소용(㈜유한양행)
** 브레프 파워 주방용(헨켈홈케어코리아(유))

□ 모든 제품이 안전·표시 기준에 적합했고 표시 내용 이상 없어(세부내용 6~8페이지)
유해물질(벤젠, 비소 등) 함량, 용기 내구성 등의 안전성과 내용량 및 제품에 반드시 표시해야 하는 표시사항 등의 표시 적합성은 모든 제품이 관련 기준*에 적합했다.
* 안전확인대상 생활화학제품 지정 및 안전·표시기준(환경부 고시 제2021-150호, 2021.7.30.)
또한 일부 제품과 관련하여, 형광증백제, 파라벤 등의 ‘무첨가’, 살균?항균 효과 등을 표시한 내용을 검증한 결과, 검증 대상 모두 표시 내용에 이상이 없었다.

□ 소비자 안전을 위해 사용 시 주의 필요(세부내용 9페이지)
모든 제품이 사용 시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사항을 표시하고 있으나, 주방용 다목적 세정제 사용 중 안구가 손상된 소비자 위해사례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확인** 결과, 모든 제품이 사용 과정에서 분무액이 눈에 들어갈 경우 자극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소비자의 주의가 필요하다.
* 2019년 ~ 2020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 위해 사례(22건) 중 안구 이물감 또는 손상이 36.4%(8건)
** 눈 자극 가능성 동물대체 시험방법(HET-CAM, 유정란에 제품 투여 후 혈관의 거시적인 변화를 평가)
앞으로도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생활화학제품에 대한 품질 및 안전성, 환경성을 평가한 비교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붙임> 1. 주방용 다목적 세정제 주요 시험·평가 결과
2. 주방용 다목적 세정제 품질비교시험 종합평가표
3. 주방용 다목적 세정제 사용 시 주의사항
  • 보충취재시험검사국 화학환경팀 남현주 팀   장 (043-880-5881)
  • 보충취재시험검사국 화학환경팀 고태상 부연구위원 (043-880-5884)
                                                      

 



총 게시물 108 페이지 1 / 11
게시물 검색
주방용품 및 생활용품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08 '캡슐형 세탁세제' 올바른 보관으로 우리 아이 안전을 지켜요! 새글 위해예방팀 2023.06.01 23
107 밴드형 신생아 기저귀, 흡수성능 등 품질 차이 있어 섬유신소재팀 2023.01.31 144
106 프라이팬의 핵심 성능인 코팅 내구성, 제품 간 차이 있어 기계금속팀 2023.01.17 203
105 다회용 키친타월, 흡수성·내구성 등 주요 품질에 차이 있어 화학환경팀 2022.12.13 122
104 곰팡이 제거용 욕실세정제, 항곰팡이 성능 차이 있어 화학환경팀 2022.11.03 182
103 세탁세제 안전하GO! 감탄하GO! 캠페인 실시 위해예방팀 2022.11.01 144
102 의류용 중성세제, 오염 종류에 따라 제품별 세척력 달라 화학환경팀 2022.10.11 234
101 무선주전자, 가열시간·보온정확성 등의 품질에 차이 있어 전기전자팀 2022.09.21 138
100 한국소비자원, 주요 생활가정용품 사업자와 정례협의체 발족 위해예방팀 2022.06.30 234
99 노후화된 바닥매트, 주기적으로 교체 필요 hot 생활안전팀 2022.05.03 329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