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주방용품 및 생활용품 보도자료 상세보기
제목 일부 욕실·화장실 미끄럼방지 용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품목 주방용품 및 생활용품
출처 제품안전팀
조회수 1173
작성일 2020.11.25
파일 hwp 파일201119_미끄럼방지 용품 안전실태_보도자료.hwp
pdf 파일201119_미끄럼방지 용품 안전실태_보도자료.pdf
일부 욕실·화장실 미끄럼방지 용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 해당 제품의 제조·수입·판매자는 자발적 시정하기로 -

가정 내 미끄러짐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미끄럼방지매트나 미끄럼방지제를 구입해 욕실·화장실에 설치·시공하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소비자원(원장 이희숙)이 시중에 유통·판매 중인 욕실 미끄럼방지매트 20개, 미끄럼방지제 10개 제품을 대상으로 유해물질 안전성 및 표시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돼 소비자들의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욕실 미끄럼방지매트 3개 제품에서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유해물질 검출
욕실 미끄럼방지매트는「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안전기준준수대상생활용품으로 분류되며, ‘합성수지제품 안전기준*’에 따른 유해물질 안전요건을 준수해야 한다.
* 국가기술표준원 고시 제2019-0352호
유해물질 시험 결과, 조사대상 욕실 미끄럼방지매트 20개 중 3개(15.0%) 제품에서 안전기준(0.1% 이하)을 최대 435배(최소 5.5% ~ 최대 43.5%) 초과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가 검출돼 기준에 부적합했다.
※ 3개 제품을 수입·판매한 사업자는 해당 제품의 판매를 중지하고, 소비자 요청 시 교환·환불 등의 자발적 시정을 하기로 회신함.

[ 욕실 미끄럼방지매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 초과 제품 ]
(단위 : %)
제품명 수입자명 허용치 검출량 검출부위
렛이지 논슬립 욕실 욕조 안전매트 와이드 snc 0.1 이하
(프탈레이트계가소제 DEHP, DBP, BBP 총합)
43.5 발바닥 접촉면
귀여운 욕조 욕실매트(그린 개구리) 하늬통상 40.5
미끄럼방지매트 PVC 격자 4mm(그레이) 지아이엘 5.5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간·신장 등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남성 정자 수 감소, 여성 불임 등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침.
□ 미끄럼방지제 2개 제품에서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유해물질 검출
미끄럼방지제는「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으로 분류되며, ‘안전확인대상생활화학제품 지정 및 안전·표시기준(특수목적 코팅제)*’에 따른 유해물질 안전요건을 준수해야 한다.
* 환경부 고시 제2020-117호
시험 결과, 조사대상 미끄럼방지제 10개 중 2개(20.0%) 제품에서 안전기준(폼알데하이드 70mg/kg 이하, 자일렌 2% 이하)을 초과하는 유해물질이 검출(폼알데하이드 516mg/kg, 자일렌 2.89%)돼 부적합했다.
※ 2개 제품을 제조·판매한 사업자는 해당 제품의 판매를 중지하고, 소비자 요청 시 교환·환불 등의 자발적 시정을 하기로 회신함.
 
[ 미끄럼방지제 유해물질 기준 초과 제품 ]
제품명 제조자·판매자명 폼알데하이드(mg/kg) 자일렌(%)
70 이하 2 이하
타일슬립-스톱 ㈜케이엠지 516 기준 적합
SAFE STEP Anti-slip Spray 동신엘앤씨 기준 적합 2.89
? 폼알데하이드 : 폐와 점막(눈, 코, 입)에 만성 자극을 일으키며, 장기간 노출 시 암 또는 백혈병을 유발할 수 있음.
? 자일렌 : 뇌와 신경계통의 정상적인 활동을 방해하여 두통·현기증·피로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음.

□ 상당수 미끄럼방지 용품의 표시사항 미흡
욕실 미끄럼방지매트는 제품 또는 최소단위 포장에 모델명·제조연월·제조/수입자명·제조국명 등의 일반 표시사항을, 미끄럼방지제는 품목·제품명·용도·제조/수입자 등의 일반 표시사항과 안전기준에 적합함을 나타내는 안전기준적합확인신고번호를 표시해야 한다.
그러나 조사대상 욕실 미끄럼방지매트 20개 중 11개(55.0%) 제품과 미끄럼방지제 10개 전 제품이 일반 표시사항을 일부 또는 전부 누락했고, 미끄럼방지제 전 제품이 안전기준적합확인신고번호를 표시하지 않아 개선이 필요했다.
한국소비자원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기술표준원과 환경부에 욕실 미끄럼방지매트 및 미끄럼방지제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를 요청할 예정이다.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제품안전팀 신국범 팀 장 (043-880-5631)
  • 보충취재안전감시국 제품안전팀 이안나 선임연구원 (043-880-5633)
     
                                                      

 



총 게시물 134 페이지 2 / 14
게시물 검색
주방용품 및 생활용품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124 분유제조기, 제품별로 조유농도·온도 정확성 차이 있어 hot 전기전자팀 2024.10.15 357
123 헤어트리트먼트, 모발의 개선 성능은 제품 간 차이 있어 hot 화학환경팀 2024.10.10 813
122 휴대형 유모차, 품질·성능 전 제품 우수하나 가격 차이 커 hot 기계금속팀 2024.09.24 448
121 경사진 영아 수면용품 주의, 영아돌연사증후군 우려! hot 제품안전팀 2024.08.27 622
120 ㈜키친아트 올가 편수냄비, 자발적 리콜 실시 hot 위해관리팀 2024.07.25 560
119 콘택트렌즈 세정액, 미생물 기준 초과 제품이 있어 hot 화학환경팀 2024.07.19 792
118 건전지, 제품별로 지속시간 차이 있어 hot 전기전자팀 2024.06.25 659
117 한국쓰리엠(3M) 방음용 귀덮개, 자발적 리콜 실시 hot 위해관리팀 2024.05.21 824
116 화상 우려 엠에스알(MSR) 캠핑용 냄비, 자발적 리콜 실시 hot 위해관리팀 2024.04.19 788
115 봄 나들이 때 유모차 안전사고 주의하세요 hot 위해예방팀 2024.04.04 659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