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사이드 메뉴로 바로가기

통합검색 전체메뉴
주방용품 및 생활용품 보도자료 상세보기
제목 휴대기기용 배터리(리튬2차전지) 사용시 주의해야
품목 주방용품 및 생활용품
출처 소비자안전센터
조회수 5832
작성일 2008.02.27
파일 pdf 파일휴대기기용 배터리 안전사고 사례분석 및 예방대책.pdf
휴대기기용 배터리(리튬2차전지) 사용시 주의해야
-과충전, 고온, 외부 충격에 취약-

노트북 PC나 휴대폰 배터리로 사용되고 있는 리튬2차전지의 발화, 폭발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소비
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최근 3년간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배터리(리튬2차전지) 관련 안전사고는 총 38건이 접수됐으며, 해마
다 꾸준히 증가해왔다. 기기별로는 휴대폰 배터리가 가장 사고 발생률이 높았으며(28건, 73.7%), 사고 상황별로
는 사용 중에 주로 사고가 발생(66.7%)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원장 박명희)은 2005.1.1부터 2008.1.18까지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휴대기기용
배터리(리튬2차전지) 안전사고 38건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주요 사고 사례】

【사례1】경기도 고양시에 거주하는 차○○씨(남, 30대)는 2007년 11월경 운전하던 중 바지 왼쪽 뒷주머니에 넣
어둔 휴대폰 배터리가 연소해 바지에 구멍이 뚫리고 2도 화상을 입음.

【사례2】경기도 오산시에 거주하는 박○○씨(남, 20대)는 2007년 1월에 휴대전화로 통화하던 중 심한 소음이
들려 배터리를 빼는 과정에서 폭발하듯 흰 연기가 피어올라 손가락에 화상을 입음.

【사례3】2008년 1월 부산에 거주하는 정○○씨(여, 20대)는 2008년 1월 MP3플레이어를 충전하는 도중 배터리
가 팽창하면서 고온이 발생해 장판이 눌러 붙음.

□ 배터리 발화ㆍ폭발 사고 매년 증가, 휴대폰 배터리 가장 사고 많아

리튬2차전지를 배터리로 사용하고 있는 주요 휴대용기기(노트북PC, 휴대폰, PDA, ,MP3, 네비게이션)의 안전사
고는 해마다 증가했다. 리튬2차전지 배터리 안전사고는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총 38건이 접수됐는데,
2005년 9건, 2006년 12건, 2007년 15건이 접수됐고 올해에도 (2008년 1월 1일~1월 18일까지) 벌써 2건이나 접수
돼 해마다 증가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이중 휴대폰 배터리 안전사고가 28건으로 전체(38건)의 73.7%를 차지해 가장 사고 발생률이 높았다. 내비게이
션은 4건(10.5%), MP3는 3건(7.9%), 노트북은 2건(5.3%), PDA는 1건(2.6%)이 접수됐다.

□ 발화, 폭발 등 2차 안전사고 위험 높아

배터리(리튬2차전지) 안전사고를 유형별로 살펴보면 과충전 등으로 전지 내부 압력이 증가해 케이스가 부풀어
지는 ‘부풀음’이 36.8%(14건)로 가장 많았다. 배터리에 불꽃이 일거나 연기가 나면서 타는 ‘발화’가 23.7%
(9건), ‘펑’ 소리가 나거나 파편이 튀는 ‘폭발’이 15.8%(6건), 배터리에 심한 열이 발생한 ‘고온’이
15.8%(6건), 배터리 케이스가 깨지는 ‘파열’이 7.9%(3건) 였다.

화상이나 화재 등 자칫 큰 사고로 확대될 우려가 높은 ‘발화’, ‘폭발’, ‘고온’, ‘파열’이 전체 배터
리 사고의 63.2%(24건)를 차지해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한편, ‘발화’ 사고(9건)는 모두 휴대폰에서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배터리 사고 주로 ‘사용 중’에 발생해

‘발화’, ‘폭발’, ‘고온’, ‘파열’ 현상이 나타난 사고 24건을 살펴보면, 기기를 사용하던 중에 발생한
사고가 66.7%(16건), 배터리를 충전하던 중에 발생한 사고가 33.3%(8건)였다. 휴대기기 사용 중에 발생한 사고
가 충전 중에 발생한 사고보다 2배나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 찜질방 등 고온의 장소에서 사용하는 것은 위험

리튬2차전지는 열이나 충격에 취약해 고온에 노출되거나 충격을 가하는 경우 발화, 폭발 등의 위험성이 높아
진다. 특히 찜질방과 같은 고온ㆍ고습의 장소에서 노트북PC나 휴대폰, MP3 등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어린이의 경우 리튬2차전지가 장착된 게임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어 주의해야 한다.

내비게이션은 차량의 대시보드나 전면유리에 부착돼 직사광선에 직접 노출되고, 여름철에는 차량 내 온도가
90℃이상 상승하게 돼 지속적인 충전이 이루어질 경우 위험하므로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이와 관
련해 한국소비자원은 산업자원부(기술표준원)에 차량 내비게이션용 리튬2차전지 안전기준 마련을 건의한 바 있
다.

< 배터리(리튬2차전지) 사용 안전 가이드라인 >

○ 직사광선에 직접 노출된 장소나 여름철 자동차 실내, 찜질방 등 60℃이상의 고온의 장소나 습기가 많은 장소
에서 사용하거나 보관하지 않는다.

○ 배터리에 충격을 주는 행위(망치로 두드리거나 떨어뜨리거나 던지는 등)를 삼간다.

○ 금속제품(동전, 핀, 클립, 목걸이 등)을 휴대용 기기 또는 전지와 함께 보관하거나 휴대하지 않는다.


-노트북 PC-

○ 카펫, 이불, 소파, 부드러운 천 등의 위에 노트북PC를 올려놓고 장시간 혹은 반복적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 전원을 켠 상태에서 노트북PC를 밀폐된 공간(가방 등)에 장시간 혹은 반복적으로 보관하지 않는다.


-휴대폰-

○ TTA인증(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시험표준을 통과한 제품) 마크가 붙은 제품 등 정품 충전기와 기기 제조사
에서 공급하는 정품 충전지만을 사용한다.


-내비게이션-

○ 리튬2차전지를 배터리로 사용하는 차량용 내비게이션의 경우 여름철 고온에서 지속적인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전지를 탈거하고 시거잭과 연결된 별도의 전원을 사용한다.

보충취재

소비자안전본부 생활안전팀 팀장 손영호 (☎3460-3481)
소비자안전본부 생활안전팀 차장 신국범 (☎3460-3484)


총 게시물 134 페이지 8 / 14
게시물 검색
주방용품 및 생활용품 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출처 게시일 조회수
64 반려동물용 탈취제·물휴지에서 CMIT/MIT 등 검출 hot 제품안전팀 2017.07.31 3356
63 가스레인지 과열방지장치의 정상작동을 차단하는 센서캡 유통·판매 중지 권고 hot 위해관리팀 2017.07.18 3644
62 소규모사업장內 정수기‘무상점검·세척 서비스’캠페인 시행 hot 위해관리팀, 위해분석팀 2017.06.30 3484
61 생활화학제품 사용 중 안전사고 지속적으로 발생 hot 위해분석팀 2017.04.12 3673
60 설 연휴, 화상·화재 사고 주의 hot 위해분석팀 2017.01.26 3767
59 에어로졸 제품 사용 부주의시 화재·폭발 우려 hot 생활안전팀 2016.12.20 4078
58 실내 인테리어용 시트지, 카드뮴과 납 다량 검출 hot 생활안전팀 2016.11.25 4203
57 찜질팩, 안전기준 마련되어야 hot 생활안전팀 2016.11.03 5156
56 맘앤쥬 펭귄 어린이 칫솔 자발적 환급 및 무상교환 hot 안전감시팀 2016.10.27 4157
55 레녹스 내열냄비 탈착형 손잡이 무상 제공 hot 안전감시팀 2016.10.27 4470

만족도 조사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사용편의성 조사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