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일부 자외선 살균제품, 살균파장 방출되지 않거나 오존 발생해 | |||||||||||||||||||||||||||||||||||||||||||||||||||||||||||||||||||||||||||||||||||||||||||||
---|---|---|---|---|---|---|---|---|---|---|---|---|---|---|---|---|---|---|---|---|---|---|---|---|---|---|---|---|---|---|---|---|---|---|---|---|---|---|---|---|---|---|---|---|---|---|---|---|---|---|---|---|---|---|---|---|---|---|---|---|---|---|---|---|---|---|---|---|---|---|---|---|---|---|---|---|---|---|---|---|---|---|---|---|---|---|---|---|---|---|---|---|---|---|
품목 | 주방용품 및 생활용품 | |||||||||||||||||||||||||||||||||||||||||||||||||||||||||||||||||||||||||||||||||||||||||||||
출처 | 제품안전팀 | |||||||||||||||||||||||||||||||||||||||||||||||||||||||||||||||||||||||||||||||||||||||||||||
조회수 | 429 | |||||||||||||||||||||||||||||||||||||||||||||||||||||||||||||||||||||||||||||||||||||||||||||
작성일 | 2021.01.14 | |||||||||||||||||||||||||||||||||||||||||||||||||||||||||||||||||||||||||||||||||||||||||||||
파일 |
![]() ![]() |
|||||||||||||||||||||||||||||||||||||||||||||||||||||||||||||||||||||||||||||||||||||||||||||
일부 자외선 살균제품, 살균파장 방출되지 않거나 오존 발생해
- 자외선 방출 제품의 절반 이상이 보호장치가 없어 개선 필요- 코로나19 확산으로 개인위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마스크·휴대폰 등의 생활용품을 소독하기 위한 직류전원 자외선 살균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 (오존 위해성) 흡입 시 후두점막·기관지·폐세포 등의 손상을 유발하여 호흡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과다 노출 시 기침·메스꺼움·두통 및 실신에 이르기도 함. ※ ㈜더크루는 판매 중지하고 소비자 요청시 교환 또는 환불, ㈜바나나코퍼레이션 및 ㈜엠테크윈은 광고 개선 후 판매하고 소비자 요청시 교환하기로 회신함. ※ ㈜이놀은 판매 중지 및 교환·환불을 권고하였으나 회신하지 않음. □ 상당수 제품은 높은 선량의 자외선을 방출하고 있으나 보호장치 등이 없어 전기제품분야 국제표준인 IEC 62471, IEC 62368과 세계조명협회의 ‘UV-C 안전가이드라인’에서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제품은 자외선량에 따른 광생물학적 위험성을 평가해 위험그룹에 해당되면 사용자의 눈·피부 등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장치(차폐, 전원차단 등)를 설치하고 경고표시(자외선 방출 사실과 눈·피부에 위해할 수 있다는 내용)를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 (광생물학적 위험성) 자외선 노출에 의해 피부(홍반·피부암 등)와 눈(광각막염·결막염· 백내장 등) 손상을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을 말하며, 위험정도에 따라 면제그룹(광학적 위험이 없음), 위험그룹1(광원을 직접 눈으로 보거나 장시간 노출되지 않으면 위험하지 않음), 위험그룹2(노출을 회피한다면 위험을 초래하지 않음), 위험그룹3(일시적인 노출에도 위험함)으로 나뉨. 조사대상인 직류전원 자외선 살균제품 25개 제품의 광생물학적 위험성을 평가한 결과, 5개(20.0%) 제품은 위험그룹2, 16개(64.0%) 제품은 위험그룹3에 해당됐다. 그러나 위험그룹2 이상으로 평가된 21개 중 11개(52.4%) 제품은 자외선에 대한 인체 노출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장치가 없었고, 14개(66.7%) 제품은 자외선 노출 위험에 대한 경고표시가 없어 제품 사용 중 소비자의 눈·피부 등이 자외선에 노출될 위험이 높았다. * 6개 제품은 보호장치 미설치와 경고표시 누락 중복 [광생물학적 위험성 평가 결과 및 보호장치·경고표시 현황]
|
번호 | 제목 | 출처 | 게시일 | 조회수 |
---|---|---|---|---|
99 | 노후화된 바닥매트, 주기적으로 교체 필요 | 생활안전팀 | 2022.05.03 | 78 |
98 | 가정 내 작업공구로 인한 안전사고 주의 | 위해예방팀 | 2022.04.19 | 64 |
97 |
인체 접촉성 합성수지·합성가죽 제품에서 유해물질 검출
![]() |
제품안전팀 | 2022.04.12 | 608 |
96 | 유아용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성능·사용감은 제품에 따라 차이 있어 | 섬유신소재팀 | 2022.03.02 | 172 |
95 | 플라스틱 배달용기 사용 줄이고 재활용률 높일 방안 마련 시급 | 생활안전팀 | 2022.02.24 | 253 |
94 |
식기세척기 세제의 세척성능 및 경제성, 제품별로 차이 있어
![]() |
화학환경팀 | 2022.02.07 | 440 |
93 |
마스크 가드 착용 시 방역효과 떨어질 수 있어
![]() |
제품안전팀 | 2021.12.28 | 927 |
92 | 온 가족이 이용하는 화장실, 세면대 안전사고에 주의하세요. | 위해예방팀 | 2021.12.09 | 254 |
91 |
욕실용 필터샤워기 일부 제품, 잔류염소 제거성능 미흡해
![]() |
식의약안전팀 | 2021.11.30 | 838 |
90 | 주방용 다목적 세정제의 세척성능 및 경제성, 제품별로 차이 있어 | 화학환경팀 | 2021.11.08 | 206 |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