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난감자석 삼킴사고 위험!

동영상 자막

- 아나운서(여)
아이들 장난감이 무기로 둔갑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십니까? 집에서 놀다가 장난감 부품이나 건전지를 삼키는 위험천만한 사고가 많습니다.
특히 만 1~3살까지의 영유아를 두신 부모님들은 이 소식 유삼히 보셔야겠습니다. 박성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박성욱 기자
지난 2월 2살된 남자아이가 장난감 자석 7개를 삼켜 응급실에 실려왔습니다.
비슷한 시기에는 3살짜리가 단추모양의 수은건전지를 삼키는 사고도 발생했습니다.
모두 가지고놀던 장난감에서 떨어져 나온 부품들이였습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 해 접수된 어린이 삼킴사고는 특히 만 1~3세 영유아에게 가장 많았습니다.
사고를 유발한 품목은 장난감 31.5%로 1위이며 이어 의약 화학제품, 음식물, 생활용품 순입니다.
호기심이 많아 모든 입으로 가져가는 영유아기 만약 삼킨 것이 자석과 단추형 건전지라면 매우 치명적입니다.

- 이윤선 응금의학과전문의(O병원)
특히 3세 미만 아이들이 장난감을 가지고 놀다가 삼키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특히 자석을 삼키는 경우에는 그게 장 내에 들어가서 서로 붙게돼요.
그러면 그 사이에 장이 끼고 그 끼인 장이 천공되든지 아니면 거기서 염증이 심하게 발생돼서 패혈증같은 것으로 진행할 수가 있어요.

- 박성욱 기자
자율안전확인마크가 부착된 장난감입니다. 즉, 안전전검을 받았다는 얘기입니다.
그러나 3세 미만용 완구에 쓸 수 없는 작은 22개나 있는데에도 버젓이 2세 이상으로 되어있습니다.
이처럼 사용연령이나 안전표시가 미흡하다보니 부모들은 어떤 것을 사줘야 안전한지 난감합니다.

- 김혜진 과장(한국소비자원)
자석이나 단추형 건전지 등 작은 부품을 여러개 포함하고 있는 제품을 구입하실 때에는 특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또한 장난감에서 작은 부품이 탈락되어있지는 않은지 주기적으로 점검하시는게 좋겠습니다.

- 박성욱 기자
영유아 삼킴사고가 무서운 이유는 아이들이 이물질을 삼켜도 이를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좋은 제품을 고르는 것도 중요하지만 안전한 제품을 고르고, 아이들이 작은 부품을 삼키지는 않는지 주의깊게 살펴보는 관심이 필요합니다.
동영상 창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