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자막
- 아나운서(여)
아이들 장난감이 무기로 둔갑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십니까? 집에서 놀다가 장난감 부품이나 건전지를 삼키는 위험천만한 사고가 많습니다.
특히 만 1~3살까지의 영유아를 두신 부모님들은 이 소식 유삼히 보셔야겠습니다. 박성욱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박성욱 기자
지난 2월 2살된 남자아이가 장난감 자석 7개를 삼켜 응급실에 실려왔습니다.
비슷한 시기에는 3살짜리가 단추모양의 수은건전지를 삼키는 사고도 발생했습니다.
모두 가지고놀던 장난감에서 떨어져 나온 부품들이였습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 해 접수된 어린이 삼킴사고는 특히 만 1~3세 영유아에게 가장 많았습니다.
사고를 유발한 품목은 장난감 31.5%로 1위이며 이어 의약 화학제품, 음식물, 생활용품 순입니다.
호기심이 많아 모든 입으로 가져가는 영유아기 만약 삼킨 것이 자석과 단추형 건전지라면 매우 치명적입니다.
- 이윤선 응금의학과전문의(O병원)
특히 3세 미만 아이들이 장난감을 가지고 놀다가 삼키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특히 자석을 삼키는 경우에는 그게 장 내에 들어가서 서로 붙게돼요.
그러면 그 사이에 장이 끼고 그 끼인 장이 천공되든지 아니면 거기서 염증이 심하게 발생돼서 패혈증같은 것으로 진행할 수가 있어요.
- 박성욱 기자
자율안전확인마크가 부착된 장난감입니다. 즉, 안전전검을 받았다는 얘기입니다.
그러나 3세 미만용 완구에 쓸 수 없는 작은 22개나 있는데에도 버젓이 2세 이상으로 되어있습니다.
이처럼 사용연령이나 안전표시가 미흡하다보니 부모들은 어떤 것을 사줘야 안전한지 난감합니다.
- 김혜진 과장(한국소비자원)
자석이나 단추형 건전지 등 작은 부품을 여러개 포함하고 있는 제품을 구입하실 때에는 특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또한 장난감에서 작은 부품이 탈락되어있지는 않은지 주기적으로 점검하시는게 좋겠습니다.
- 박성욱 기자
영유아 삼킴사고가 무서운 이유는 아이들이 이물질을 삼켜도 이를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좋은 제품을 고르는 것도 중요하지만 안전한 제품을 고르고, 아이들이 작은 부품을 삼키지는 않는지 주의깊게 살펴보는 관심이 필요합니다.